목록회계처리 (3)
회계 밖 세상
최근 많은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1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소식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회계 담당자라면 자사주 매입에 따른 정확한 회계처리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사주 매입부터 처분까지 전 과정의 회계처리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자사주의 개념과 회계적 의미자사주(자기주식)란 회사가 자신이 발행한 주식을 다시 취득하여 보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한 한국의 회계기준(K-IFRS)에서는 자사주를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자사주는 자산이 아닌 자본의 차감항목으로 표시합니다.자사주 관련 거래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고 자본 내에서 처리합니다.자사주는 취득목적(매각용 또는 소각용)에 관계없이..
지분법을 적용할 때 가장 복잡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지분법자본변동입니다. 특히 해외 관계사에 대한 지분법 적용 시에는 환율 변동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지분법자본변동 계산이 더욱 복잡해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 관계사에 대한 지분법자본변동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지분법자본변동이란?지분법자본변동(Capital Adjustment from Equity Method)은 피투자회사의 자본 변동 중 당기순손익 이외의 변동에 대한 투자회사의 지분을 반영하는 항목입니다. 즉, 피투자회사의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 내 직접적인 변동에 대한 투자자의 몫을 기록하는 계정입니다.해외 관계사에 대한 지분법 적용 시 지분법자본변동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각 구성요소와 계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지분법자본변동의 구성 ..
회계를 공부하다 보면 지분법 회계처리 중에서도 특히 유상증자와 관련된 부분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불균등 유상증자로 인해 지분율이 감소하는 경우의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불균등 유상증자란?먼저 불균등 유상증자란 기존 주주들이 자신의 지분율에 비례하지 않게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주주들 간의 지분율에 변동이 생깁니다.균등 유상증자: 모든 주주가 자신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증자에 참여 → 지분율 변동 없음불균등 유상증자: 주주별로 참여 비율이 다름 → 지분율 변동 발생지분율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투자회사가 피투자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지만, 자신의 기존 지분율보다 낮은 비율로 참여하거나, 다른 주주들이 더 많이 참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지분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