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세금신고
- 무형자산
- 유형자산
- k-ifrs 1023
- 파이썬
- 지분법
- 회계정책
- 충당부채
- 공정가치
- K-IFRS
- 기업가치
- 골프
- 유형자산 회계실무
- 골린이
- 소득세
- 연말정산
- 연결
- 국세청
- 사례분석
- 내부회계
- 부가가치세
- 복구충당부채
- k-ifrs 1016호
- 회계기준
- 원상회복 의무
- 종합소득세
- 자가건설
- 영업권
- 취득원가
- 회계처리
- Today
- Total
목록K-IFRS (7)
회계 밖 세상

안녕하세요, 재무와 회계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기업 회계에서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익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볼게요. 특히 K-IFRS 1115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기준서는 많은 기업들이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제인데요, 이 복잡한 기준서를 쉽게 풀어보려 합니다.저도 처음 이 기준서를 공부할 때 머리가 아팠던 기억이 나네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차근차근 접근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수익,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기업 재무제표에서 가장 먼저 보는 숫자가 무엇일까요? 바로 '매출액' 또는 '수익'이죠. 수익은 기업 활동의 가장 핵심적인 성과지표로, 주주와 투자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숫자입니다. 그만큼 수익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측정하는 것은 기업 평가의 근간이 됩니다.K-..
목차서론: IFRS 9 손상모형의 개요기대신용손실모형의 핵심 개념3단계 손상평가 프로세스실무에서 사용되는 손상차손 추정 방법론업종별 손상차손 인식 사례재무제표 공시와 활용실무 적용 시 주의사항과 해결방안결론1. 서론: IFRS 9 손상모형의 개요IFRS 9은 2018년 1월부터 시행된 국제회계기준으로, 금융자산의 손상에 대한 접근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이전 IAS 39의 '발생손실모형(Incurred Loss Model)'에서 '기대신용손실모형(Expected Credit Loss Model)'으로 전환함으로써, 손실 사건이 발생한 후에 손상을 인식하던 방식에서 미래지향적으로 예상되는 손실을 선제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했습니다.1.1 발생손실모형에서 기대신용손실모형으로의 전환 ..
회계를 공부하는 분들이나 실무자들에게 IFRS 9 금융상품 기준서는 늘 도전적인 영역입니다. 특히 금융자산의 분류와 측정 부분은 복잡한 개념과 조건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IFRS 9에 따른 금융자산의 분류체계와 그 기준, 그리고 실무 적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1. 금융자산 분류체계의 개요IFRS 9에서는 금융자산을 다음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합니다:상각후원가(Amortized Cost, AC) 측정 금융자산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Fair Value through Other Comprehensive Income, FVOCI) 측정 금융자산당기손익-공정가치(Fair Value through Profit or Loss, FVPL) 측정 금융자산이 분류는 두 가지 핵심 기..
무형자산이란?무형자산은 기업의 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산이지만, 유형자산과 달리 물리적 실체가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디지털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의 가치는 공장이나 설비 같은 유형자산보다 기술, 브랜드, 지식재산권과 같은 무형자산에서 더 많이 창출되고 있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1038에서는 무형자산을 "물리적 실체가 없는 식별 가능한 비화폐성 자산"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기업에게 미래 경제적 효익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원을 의미합니다.무형자산의 주요 특성1. 식별 가능성(Identifiability)무형자산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식별 가능해야 합니다. 식별 가능성은 다음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할 때 성립합니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1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결정 소식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회계 담당자라면 자사주 매입에 따른 정확한 회계처리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자사주 매입부터 처분까지 전 과정의 회계처리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자사주의 개념과 회계적 의미자사주(자기주식)란 회사가 자신이 발행한 주식을 다시 취득하여 보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한 한국의 회계기준(K-IFRS)에서는 자사주를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자사주는 자산이 아닌 자본의 차감항목으로 표시합니다.자사주 관련 거래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고 자본 내에서 처리합니다.자사주는 취득목적(매각용 또는 소각용)에 관계없이..
재무제표는 기업의 경제적 상황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달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특히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한 한국기업들(K-IFRS 적용기업)의 재무제표는 어떻게 구성되고 표시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재무제표의 의의와 목적재무제표는 일반목적 재무보고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를 체계적으로 표현합니다. 재무제표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정보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 제공기업의 재무상태, 재무성과, 재무상태 변동에 관한 정보 제공경영진의 수탁책임 결과 제공재무제표의 구성 요소K-IFRS에 따른 완전한 재무제표 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기말 재무상태표기간 포괄손익계산서자본변동표현금흐름표주석특히 주석은 단순히 부가적인 정보가 아니라 재무제표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
지배회사는 종속회사에 자금을 대여한다. 이는 종속회사가 필요한 자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외부 금융기관으로부터의 고비용 자금 조달을 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자금 대여 거래는 한국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되고 처리되어야 한다.적용되는 K-IFRS 기준지배회사는 자금 대여 거래가 별도 재무 제표에서 어떤 K-IFRS 기준에 해당하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이 거래는 K-IFRS 제1109호, 제1027호 또는 제1028호 중 하나의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K-IFRS 제1109호: 대부분의 자금 대여 거래는 금융자산으로 처리되며 이 기준에 따라 관리된다.K-IFRS 제1027호: 대여금이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의 일부로 간주될 경우, 이 기준에 따라 투자자산으로 분류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