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회계정책
- 재무회계
- 종합소득세
- 회계처리
- 회계기준
- IFRS
- 내부회계
- 연결
- 표시통화
- 세무실무
- 부가가치세
- K-IFRS
- 충당부채
- 기타포괄손익
- 영업권
- 국세청
- 금융자산
- 골린이
- 기능통화
- 공정가치
- k-ifrs 1023
- 골프
- 연결재무제표
- 유형자산
- 재무제표
- 환율변동효과
- 무형자산
- 지분상품
- 개인사업자
- 세금신고
- Today
- Total
회계 밖 세상
기타포괄손익, 이익잉여금... 복잡한 자본 항목, 이 글 하나로 끝! 본문
자본 회계 시리즈의 마지막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기업의 이익 분배와 관련된 기타포괄손익과 이익잉여금, 그리고 손실이 발생했을 때의 결손금 처리 방법을 알아봅니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자본의 변동을 한눈에 보여주는 자본변동표까지 학습하며 시리즈를 마무리하겠습니다.
1. 총포괄손익과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개념 정의
- 총포괄손익 (Total Comprehensive Income):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주주와의 자본 거래를 제외한 모든 손익 거래의 결과입니다. 즉,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손익으로 구성됩니다.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AOCI): 당기손익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자본에는 영향을 주는 평가손익(예: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요소, 특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등)의 누적액입니다. 재무상태표의 자본 항목으로 표시됩니다.
2. 이익잉여금 (Retained Earnings)
회사가 영업활동 등으로 벌어들인 이익 중, 배당 등으로 주주에게 분배하지 않고 내부에 쌓아둔 금액입니다. 이익잉여금은 그 처분 목적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뉩니다.
⚪ 이익잉여금의 3가지 종류
- 법정적립금: 상법 등 법률에 따라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금액입니다. 대표적으로 이익준비금이 있습니다.
- 임의적립금: 정관이나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특정 목적(사업 확장, 배당 평균화 등)을 위해 회사가 자발적으로 적립하는 금액입니다.
- 미처분이익잉여금: 아직 처분 계획이 정해지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순수 이익잉여금 잔액입니다.
🟡 Highlight: 이익준비금 적립 의무
상법에 따라, 회사는 자본금의 50%에 달할 때까지 매 결산기 현금배당액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반드시 적립해야 합니다. 이는 회사의 재무적 기초를 튼튼하게 하고 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입니다.
3. 이익잉여금 처분 및 결손금 처리
벌어들인 이익(미처분이익잉여금)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처분되며, 반대로 손실(결손금)이 발생하면 이를 보전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 Procedure: 이익잉여금 처분 순서 (예시)
Step 1: 처분 가능 재원 확정
전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 + 임의적립금 이입액
Step 2: 주주총회 결의 및 회계처리
(대) 이익준비금 (법정적립금)
(대) 사업확장적립금 (임의적립금)
(대) 미지급배당금 (현금배당)
(대) 미교부주식배당금 (주식배당)
Step 3: 잔액 계산
처분 후 남은 잔액이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이 됩니다.
🔴 Important: 결손금 처리
손실이 누적되어 이익잉여금이 마이너스(-)가 된 상태를 '결손금'이라 합니다. 결손금은 '처분'이 아닌 '처리' 또는 '보전'한다고 표현합니다.
결손금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임의적립금 → 법정적립금(이익준비금) → 자본잉여금 순서로 상계하여 없앨 수 있습니다. (이 순서는 일반적 관행이며 법적 강제사항은 아님)
4. 배당금 회계처리
배당은 이익잉여금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 Tip: 배당금 계산 시 우선주 종류 확인!
우선주에 배당할 때는 해당 우선주가 과거 미지급 배당금을 누적해서 주는지(누적적), 보통주와 함께 추가 배당에 참여할 수 있는지(참가적)에 따라 배당금액이 크게 달라지므로,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Example: 배당 유형별 회계처리 (결의일 기준)
- 현금배당: (차) 미처분이익잉여금 / (대) 미지급배당금 (부채)
- 주식배당: (차) 미처분이익잉여금 / (대) 미교부주식배당금 (자본조정)
- 현물배당: (차) 미처분이익잉여금 / (대) 미지급배당금 (부채, 분배자산의 공정가치로 측정)
5. 자본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자본변동표는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자본의 모든 변동 내역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재무제표입니다. 기초 자본에서 시작하여 당기순이익, 기타포괄손익, 배당, 증자, 감자 등 모든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기말 자본을 도출하는 과정을 보고합니다.
이것으로 3회에 걸친 '지분 상품과 자본' 시리즈를 마칩니다. 자본금부터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그리고 이익잉여금의 처분까지, 자본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회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잉여금과 자본조정,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핵심 계정과목 정리) (0) | 2025.08.01 |
---|---|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완벽한 회계처리 가이드 (0) | 2025.07.31 |
미래의 불확실한 빚,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완벽 가이드 (0) | 2025.07.30 |
회계 실무자를 위한 핵심 정리: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결정적 차이 (0) | 2025.07.28 |
작년에 인수한 자회사, 올해 반기보고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요? (0)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