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표시통화
- 외부감사
- k-ifrs 1023
- 유형자산
- 연결재무제표
- 해외사업장
- 세금신고
- 회계정책
- 회계감사
- 상법
- 기업회계
- 국세청
- 국제회계기준
- 회계처리
- 재무회계
- 기타포괄손익
- 부가가치세
- K-IFRS
- 종합소득세
- 외감법
- 내부회계
- 골프
- 골린이
- 공정가치
- 기능통화
- 금융자산
- 자기주식
- IFRS
- 재무제표
- 회계기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48)
회계 밖 세상
감사기준서 265 "내부통제 미비점에 대한 지배기구와 경영진과의 커뮤니케이션"은 내부통제 미비점과 내부통제의 유의적 미비점에 대한 용어의 정의를 포함하고 있음. 또한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및 보고 모범규준에서는 중요한 취약점에 대한 추가설명을 제공하고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미비점을 설계의 미비점과 운영의 미비점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음 내부통제의 미비점(Deficiency in internal control) 어떤한 통제가 재무제표의 왜곡표시를 적시에 예방, 발견 또는 수정할 수 없게 설계, 실행 또는 운영되는 경우 재무제표의 왜곡표시를 적시에 예방 또는 발견 및 수정하기 위해 필요한 통제가 누락된 경우 내부통제의 유의적 미비점(Significant deficiency in internal control)..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인의 인증 강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 상장법인의 외부감사인이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관련된 외감법의 준수 여부 및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동의 운영실태에 관한 보고내용을 확인하고 감사보고서에 표명하여야 하는 종합의견의 수준이 "검토"에서 "감사" 상향됨 감사는 외부감사인이 제시해야 하는 확신의 수준이 검토보다 높기 때문에, 감사인은 검토에 비해 더 많은 절차를 수행해야 함.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 구성 5가지 구성요소 17가지 원칙 원칙달성을 위한 75개 중점 고려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 체계 (1)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설계 및 운영 - 개념체계 :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체계를 제시 - 적용기법 : 설계, 운영 개념체계에서 제시한 원칙과 중점고려사항을 실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 (2)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및 보고 - 모범규준 : 경영진이 선택한 내부통제체계에 따라 설계, 운영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평가 및 보고에 관한 지침을 제공 - 적용기법 : 평가, 보고 모범규준을 준수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명과 기법을 제시
내부통제제도 개념 내부통제는 "다음의 세가지 목적달성에 대한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직의 이사회, 경영진 및 여타 구성원에 의해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기업운영의 효율성 및 효과성 확보(운영목적) : 회사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원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보고 정보의 신뢰성 확보(보고목적) : 회사는 내부 및 외부 보고를 위해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재무정보와 비재무정보의 작성 및 보고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관련 법규 및 정책의 준수(법규준수 목적) : 회사의 모든 활동은 관련 법규, 감독규정, 내부정책 및 절차를 준수하고 있다. 내부회계관리제도 개념
더보기 2018년 11월에 주식회사등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 전면 개정되었는데, 그 주된 내용으로는 "감사위원회의 역할 강화", "재무제표 작성책임 강화", "6주전 증선위 제출", "감사인이나 회사 처벌규정 강화", "과징금" 등이 있음 특히 기존에는 과징금의 전체 한도가 최대 45억이었으나 지금은 고의일떄는 오류분식 금액의 20%, 그리고 중과실일때는 그 오류 분식금액의 15%임. 감사환경이 변화로 "감사인 지정제 확대", "표준감사시간", "핵심감사제" 등으로 인해서 재무보고 리스크가 크게 증대되고 있고 이에따라서 내부회계관리제도 강화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음 감사(위원회) 역할 강화 F/S 작성책임 강화 감사환경 변화 감사인 선임 권한(선임 위원회) F/S 작성 요청, 자문 금지 감사인 지정..
더보기 1992년도에 코소프레임 워크 발표 Committee of sponsoring organizations of the treadway Commission : 1985년에 미국에서 효과적인 내부통제제도를 정립하고자 aicpa 등의 협회가 만든단체 코소의 내부통제 프레임워크 : 통제환경, 리스크 평가, 통제활동,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모니터링 미국같은 경우 2004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를 시행 우리나라도 2005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도입 2011년도에 PCAOB 지적사항이 증가하면서 2013년에 코소가 신규로 발표 우리나라도 2018년에 외감법 전면개정,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이 개정 2019년부터는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가 2조이상부터 단계적으로 진행 국내 연도 미국 1992 COSO F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