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IFRS
- 재무회계
- 기업회계
- 국세청
- 골프
- 골린이
- 회계처리
- 상법
- 유형자산
- 공정가치
-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 종합소득세
- 내부회계
- 회계감사
- 자기주식
- 회계기준
- 기능통화
- 국제회계기준
- 외감법
- 회계정책
- 부가가치세
- K-IFRS
- 재무제표
- 표시통화
- 연결재무제표
- k-ifrs 1023
- 해외사업장
- 세금신고
- 외부감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48)
회계 밖 세상
용적률은 재건축 사업의 수익익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지상층 연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여기서 지상층 연면적은 모든 층의 바닥면적을 합한 것이다. 용적률이 높아질수록 층수도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대지면적이 10,000㎡이 사업부지에 용적률 200%라면 건물의 모든 층의 면적을 합쳐서 20,000㎡의 건축물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용적률이 높을수록 건물의 층수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면 건폐율은 무엇인가??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뜻한다. 예를 들어 대지면적 10,000㎡에 건폐율이 20%라면 전체 바닥면적 중 2,000㎡에만 집을 지을 수 있다. 만약 대지면적 10,000㎡에 건물 1채만을 짓는다고 가정하고, 건폐율 20%, 용적률 ..
외감법에 따라 회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과 공시를 위하여 내부회계관리규정과 이를 관리・운영하는 조직(내부회계관리제도)을 갖추어야 한다.(제8조 제1항). 회사의 대표자는 사업연도마다 주주총회,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에게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보고하여야 하고(제4항), 감사(위원회)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평가하여 이사회에 사업연도마 다 보고하고 그 평가보고서를 회사의 본점에 5년간 비치하여야 한다.(제5항) 따라서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관련된 문서화된 근거자료를 통해 회사 스스로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와 운영실태 평가에 대한 결론을 입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감사인이 내부 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또는 검토)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회사가..
사전평가 통제가 너무 많거나 부족하지는 않는지 검토를 수행하고 중요한 리스크, 계정, 프로세스 등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 추적조사 인터뷰를 통해 추적조사를 진행하여 거래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업무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업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파악한다. 해당 리스크를 적절하게 예방 적발할 수 있는 통제를 파악한다. 설계평가 및 개선방안 제시 통제활동이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지 문서화를 수행하고, 실제로 실계된대로 운영 되느지 확인할 수 있도록 운영평가 탬플릿을 작성한다. 또한 미비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현업과의 최종 컨펌을 통해서 개선안을 확정한다.
내부회계관리제도 고도화 및 운영 내부회계관리제도 통제 설계는 조직 및 사업 등 변화에 맞게 지속적 업데이트 필요 내부회계관리제도는 한번 구축하고 나면 그 다음부터는 업데이트를 할 필요성이 없을까? 조직 및 회사는 계속 바뀐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화 관리가 필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내부통제 구축 업데이트가 되고 나면 내부 통제 운영을 한다. 그리고 설계된 대로 실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회사가 수행한다. 여기에 대해서 경영진이 평가를 수행한다. 그리고 감사위원회가 평가를 하고, 외부감사인은 독립적인 감사를 진행한다.
종합소득세 신고 관련한 전자신고 메뉴얼은 국세청 홈페이지 - 참고자료실에서 다운로드 가능함 https://www.nts.go.kr/nts/na/ntt/selectNttList.do?mi=2243&bbsId=30000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
정보보호 공시제도 (1) 목적 사회, 경제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사이버 침해사고가 기업의 경제적 피해, 대외신뢰도 저하 등 기업경영에 영향을 미치고, 모든 기업에 있어 정보보호가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되었음. 또한 경영주체들은 정보보호를 투자가 아닌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아 불충분한 정보로 서비스 이용, 투자 등 의사결정이 이루어짐 대상 내용 주주 기업의 잠재적 재무상태 변화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보호 현황에 대한 주주의 알권리 확보 소비자, 국민 기업 등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의 보호수준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 선택권 강화 기업 기업 스스로 정보보호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용자 등에게 정보보호 활동을 공시함으로써 법적근거를 갖고 기업의 보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