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골프
- 국세청
- 금융자산
- 회계정책
- 종합소득세
- 표시통화
- 국제회계기준
- 재무회계
- 연결재무제표
- 외감법
- 해외사업장
- 세금신고
- 회계기준
- 골린이
- 재무제표
- 공정가치
- k-ifrs 1023
- 부가가치세
- 회계감사
- 유형자산
- 기타포괄손익
- 자기주식
- 내부회계
- K-IFRS
- IFRS
- 상법
- 기능통화
- 기업회계
- 회계처리
- 외부감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46)
회계 밖 세상
어음의 심장을 움직이는 힘, '배서' 완전 정복! 💼✨오늘은 ‘어음’이라는 금융 도구의 핵심 중의 핵심, 바로 ‘배서(背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어음법과 수표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개념인데요. 저도 처음엔 용어가 너무 어렵게 느껴졌지만, 알고 보면 우리 경제 활동의 유통성을 지켜주는 정말 스마트한 제도더라고요! 함께 배서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볼까요? 🕵️♀️💡 잠깐, 어음이란?어음은 특정 날짜에 특정 금액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하는 유가증권이에요. 기업 간 거래에서 현금 대신 사용되거나,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되죠. 이 어음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돕는 장치가 바로 '배서'입니다.1. 배서(背書)는 왜 필요할까요? 어음 유통의 마법! ✨1) 배서의 기능: 지명채권 양도와는 차원이 달..
어음과 수표,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사업이나 금융 거래에서 자주 등장하는 환어음, 약속어음, 수표의 정확한 개념과 차이점을 이 글 하나로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사업을 하다 보면 '어음 처리', '수표 발행' 같은 말을 자주 듣게 되죠. 저도 처음에는 '다 그냥 돈 주는 증서 아닌가?'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각각의 역할과 법적 성격이 완전히 다르더라고요. 잘못 사용하면 큰 곤란을 겪을 수도 있고요. 그래서 오늘은 상법의 기본 중의 기본! 환어음, 약속어음, 수표가 각각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지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환어음이란 무엇일까요? 🤔먼저 환어음부터 살펴볼게요. 환어음은 발행인이 제3자(지급인)에게 "이 사람(수취인)에게 정해진 날짜에 돈을 지급해주세요"라고 ..
[상법의 상호계산, 복잡한 거래 대금을 한 방에 해결하는 방법?] 상시 거래 관계에서 발생하는 번거로운 채권·채무 관계, 상법의 '상호계산' 제도를 활용하면 얼마나 편리해지는지, 그 원리와 효력까지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사장님들, 거래처와 수시로 물건을 주고받다 보면 세금계산서는 쌓여가고, 매번 대금을 송금하고 확인하는 작업이 꽤 번거롭지 않으셨나요? '이번 달엔 우리가 받을 돈이 얼마고, 줄 돈이 얼마더라...' 헷갈리기 시작하면 머리가 아파오죠. 저도 비슷한 경험이 많아서 그 답답함, 정말 잘 압니다. 이럴 때 상법에 있는 '상호계산'이라는 아주 스마트한 제도를 활용하면 모든 게 간단해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상호계산이란 무엇일까요? 🤔상호계산은 쉽게 말해, 자주 거래하는 상대방과 ..
🤔 회사 자금을 빌려썼는데, 이자 비용 처리가 안 된다고요? '업무무관 가지급금'에 대한 지급이자 손금불산입 규정, 복잡한 세법 용어 때문에 골치 아프셨죠? 이 글 하나로 핵심만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사장님이나 경리 담당자분들이라면 한 번쯤 '가지급금' 문제로 고민해 보셨을 거예요. 특히 특수관계자에게 업무와 관련 없이 자금을 빌려주는 경우, 즉 '업무무관 가지급금'이 발생하면 회사가 대출받아 지급하는 이자에 대해 세무상 비용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불이익, 바로 '지급이자 손금불산입'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게 다 부동산 투기 같은 비생산적인 활동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고 하네요. 자칫 잘못하면 세금 폭탄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 규정, 오늘 저와 함께 확실하게 알아보아요! 😊업무무관 가지급금,..
🤔 대표님, 혹시 특수관계인에게 돈 빌려주셨나요? 법인세 '인정이자' 폭탄 맞을 수도 있어요! 법인과 특수관계인 간의 자금 거래 시 반드시 알아야 할 '부당행위계산 부인' 규정과 인정이자 계산법, 이 글 하나로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법인을 운영하다 보면 대표이사나 주주 등 특수관계인에게 급하게 자금을 대여해 주는 경우가 종종 생기죠. 저도 예전에 사업 초기에 가족이 주주로 있었는데, 급전이 필요하다고 해서 회사 돈을 잠시 빌려준 경험이 있어요. 그때는 '가족인데 뭐 어때' 싶었지만, 나중에 세무조사를 받으면서 정말 아찔했던 기억이 나네요. 바로 '부당행위계산 부인 규정'에 따른 '인정이자' 때문이었어요. 혹시 비슷한 경험이 있으시거나, 관련 규정에 대해 막막하셨다면 오늘 글을 꼭 주목해 주세요! ?..
비상장주식, 얼마에 거래해야 세금 문제가 없을까요? 비상장주식의 적정 거래가(시가)를 계산하는 방법부터, 시가보다 싸거나 비싸게 거래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양도소득세, 증여세 문제까지! 세금 폭탄을 피하는 필수 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혹시 비상장법인의 주식을 가족이나 지인에게 양도할 계획이 있으신가요? "아는 사이니까 대충 이 가격에 넘기면 되겠지?"라고 생각하셨다면 잠시 멈춰주세요! 비상장주식 거래는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세금 문제를 일으킬 수 있거든요. 저도 예전에 비슷한 고민을 하다가 머리가 지끈거렸던 경험이 있는데요. 오늘 그 복잡한 내용들을 하나씩 알기 쉽게 풀어드릴게요. 😊비상장주식 양도가액, 무엇이 기준이 될까요? 🤔비상장주식을 거래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시가'입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