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祖): 나라를 세우거나 재정립한 왕
창업지군(創業之君)—새 왕조를 열었거나, 그에 준하는 국정 재정립을 이끈 왕에게 붙는 경향이 큽니다. 단, 이는 절대 규칙이 아니라 관례에 가깝습니다.
- 태조(이성계): 조선 건국
- 세조: 왕권 재정립과 제도 정비
- 선조·인조: 대외 전란을 수습하고 체제 복구에 주력(부여 배경에는 정치적 평가가 크게 작용)
사극에서 자주 보이는 '태조', '세종'—둘 다 위대한 왕처럼 보이지만 끝 글자 '조'와 '종'에는 뚜렷한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1분 요약과 함께 더 이상 헷갈리지 않도록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조’와 ‘종’은 모두 묘호의 끝 글자입니다. 묘호는 임금이 승하(사망)한 뒤 종묘에 모실 때 붙이는 공식 칭호로, 업적·상징·정치적 평가를 종합해 후대가 부여합니다.
창업지군(創業之君)—새 왕조를 열었거나, 그에 준하는 국정 재정립을 이끈 왕에게 붙는 경향이 큽니다. 단, 이는 절대 규칙이 아니라 관례에 가깝습니다.
수성지군(守成之君)—기존 체제를 안정시키고 문물·학문을 발전시킨 왕에게 흔히 붙습니다.
나라를 세우거나 재정립하면 ‘조(祖)’, 안정적으로 계승·발전시키면 ‘종(宗)’.
‘조/종’ 부여는 업적만으로 기계적으로 정해지지 않습니다. 언제나 정치적 판단이 개입했고, 시대에 따라 평가와 명분이 달라지기도 했습니다.
| 수요와 공급, 1분 만에 경제 원리 완전 정복! (0) | 2025.11.10 |
|---|---|
| 경기는 침체, 물가는 폭등? '스태그플레이션' (0) | 2025.11.05 |
| '법', '시행령', '시행규칙', 뭐가 다르고 누가 제일 높나요? (0) | 2025.11.01 |
| "내가 할게"가 맞아요? "내가 할께"가 맞아요? (0) | 2025.10.26 |
| '갱신' vs '경신' 헷갈리지 마세요! (0) | 202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