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영업권
- 회계정책
- 공정가치
- 취득원가
- 종합소득세
- 국세청
- 골프
- 골린이
- 사례분석
- 부가가치세
- 소득세
- 회계기준
- 충당부채
- 내부회계
- 파이썬
- 세금신고
- k-ifrs 1016호
- 유형자산 회계실무
- k-ifrs 1023
- 복구충당부채
- 지분법
- 연결
- 연말정산
- 자가건설
- 원상회복 의무
- K-IFRS
- 기업가치
- 회계처리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Today
- Total
회계 밖 세상
나라장터 일반계약 선금청구 완벽 가이드: 단계별 상세 매뉴얼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달업무를 수행하시는 분들, 특히 계약 이행 단계에서 필요한 선금 청구 절차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드리고자 합니다. 나라장터에서 일반계약 건의 선금을 청구하는 과정, 특히 신청서 작성 및 송신 과정에 초점을 맞춰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선금청구 전체 처리 절차 개요
나라장터 시스템을 통한 선금청구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 조달업체: 선금청구서 작성 (청구정보 입력, 보증신청, 계산서 발행 등 포함)
- 수요기관: 조달업체가 송신한 선금청구서를 시스템에서 접수
- 수요기관: 접수된 선금청구 건에 대한 선금 지급/지출 결의 처리
- 조달업체: 신청한 선금청구 건의 진행 상태 확인
이 블로그에서는 조달업체가 직접 수행하는 선금청구서 작성 및 송신 과정에 집중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조달업체의 선금청구서 작성 및 송신 상세 절차 (일반계약 건)
Step 1: 선금청구 대상 계약 건 조회 및 메뉴 접근
- 나라장터에 로그인합니다.
- 선금청구를 진행할 대상 계약 건을 찾기 위해 다음 메뉴 경로 중 하나로 이동합니다:
- [나라장터] > 이행 > 대금관리 > 대금관리목록조회
- [나라장터] > 계약 > 계약체결 > 계약체결관리목록
-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해당 계약 건을 조회하고 확인합니다.
TIP: 계약번호, 계약명, 발주기관명 등으로 검색하면 원하는 계약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Step 2: 선금청구서 작성 화면으로 이동
- 조회된 대상 계약 건을 선택(클릭)합니다.
- 계약 상세화면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선금청구서] 버튼을 클릭하여 선금청구서 작성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주의사항: 버튼이 보이지 않는다면, 해당 계약이 선금청구 대상인지 확인하세요. 또한 계약조건에 선금지급 조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 3: 선금청구 정보 입력
- '선금청구 등록' 화면이 나타나면, 선금 청구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빠짐없이 입력해야 합니다. 이 화면은 일반적으로 다음 4가지 탭(tab)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선금요청정보: 청구일자, 선금비율, 선금청구사유 등을 입력
- 선금대상금액: 계약금액, 선금청구금액 등 정확한 금액 정보 입력
- 선금입금계좌: 입금받을 계좌 정보 입력 (은행명, 계좌번호 등)
- 첨부문서: 필요 서류 첨부
중요: 모든 탭의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특히 금액과 계좌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하세요. 오류가 있을 경우 지급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tep 4: 선금 보증 신청 및 요청서 발송
- 선금청구 등록 화면의 하단에 위치한 [보증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로운 팝업 창이 열리면 [신규 보증요청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 나타나는 팝업 창에 필요한 보증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 보증관리번호: 선금청구 건의 청구번호(계약번호)를 입력
- 보증금액: 선금청구 금액에 해당하는 보증금액 입력
- 보증기간: 계약조건에 맞는 보증기간 설정
- 정보 저장 완료 후 [보증요청서 발송] 버튼을 클릭하여 보증기관으로 보증 요청서를 보냅니다.
알아두세요:
- 온라인 보증은 나라장터를 통해 보증기관으로 보증발급요청서를 연계 송신하는 방식입니다.
오프라인 보증은 나라장터에서 내용을 입력 후 출력하여 보증기관에 별도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 진행상태가 '보증접수' 처리된 건에 대해서만 배서요청이 가능합니다.
Step 5: 세금계산서 발행 및 송신
- '선금청구등록' 화면에서 탭 화면 하단에 있는 [세금계산서] 버튼을 클릭합니다.
- 나타나는 팝업 창에 세금계산서 발행에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입력합니다:
- 공급가액, 세액 등의 금액 정보
- 품목, 규격 등의 상세 정보
- 담당자 정보
- 정보 입력 완료 후 [송신] 버튼을 클릭하여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국세청으로 전송합니다.
주의사항: 세금계산서 발행 시 승인번호 앞 8자리는 작성일자를 근거로 채번되며, 채번 오류 시 재송신해야 합니다. 글자수 제한이 있으니 거래명세내역이 너무 길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Step 6: 선금청구서 저장 및 최종 송신
- 앞선 단계에서 설명한 청구 정보 입력, 보증 신청 및 보증요청서 발송, 그리고 세금계산서 발행 및 송신까지 모든 필수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해야 합니다.
- 이 모든 과정이 마무리되면, 화면 하단에 있는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작성 중인 내용을 저장합니다.
- 최종적으로 [송신] 버튼을 클릭하여 작성된 선금청구서를 수요기관에 전송합니다.
중요: 세 가지 핵심 절차(청구정보 입력, 보증신청, 세금계산서 발행)가 모두 완료되어야만 [송신]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하나라도 누락되면 선금청구서 송신이 불가능합니다!
추가 참고 사항
공동계약 건의 선금청구
- 대표사: 위 절차와 동일하게 대표사가 선금청구서 작성 및 송신
- 도급사: 대금청구확인요청서 접수 및 확인서 송신 처리 필요
- 메뉴: [나라장터] > 이행 > 대금관리 > 대금관리목록
- 해당 목록에서 대금청구확인요청서 접수 및 확인서 송신 처리
선금청구 진행 상태 확인
- 조달업체는 송신한 선금청구 건의 진행 상태를 다음 메뉴에서 확인 가능:
- [나라장터] > 이행 > 대금관리 > 대금관리목록조회
- 진행 상태에 따라 후속 조치 필요 여부 확인
자주 발생하는 오류 및 해결 방법
- 세금계산서 전송 실패:
- 메뉴: [나라장터] > 이행 > 대금관리 > 세금계산목록조회
- 검색조건 [처리구분] - [재발급대상] 선택 후 검색
- 해당 건 클릭 → 상세화면 우측하단 [정정세금계산서] 클릭 및 재송신
- 보증신청 오류:
- 보증관리번호 입력 오류 확인 (선금청구 건의 청구번호/계약번호 입력)
- 필수 입력값 누락 여부 확인
- 보증기간 및 금액 정보의 정확성 확인
- 송신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
- 세 가지 핵심 절차(청구정보 입력, 보증신청, 세금계산서 발행) 완료 여부 확인
- 각 단계별 오류 메시지 확인 및 조치
마치며
나라장터 일반계약 건의 선금청구 절차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단계별로 정확히 진행하면, 선금 지급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고 불필요한 반려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가 조달업무 담당자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특히 청구 정보 입력, 선금 보증 신청 및 보증요청서 발송, 그리고 세금계산서 발행 및 송신 - 이 세 가지 절차를 모두 완료해야 선금청구서 송신이 가능하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세요!
더 자세한 사항은 나라장터 콜센터(1588-080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회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여 지급 시 원천징수세금, 이렇게 처리하세요! (0) | 2025.05.09 |
---|---|
지출증빙 제대로 챙기지 않으면 2%의 가산세가 기다린다 (0) | 2025.05.07 |
티매프 사태로 보는 결제대행사 선택 시 주의사항 (0) | 2025.05.06 |
적격증빙 관리의 중요성: 가산세 제도와 효율적인 증빙 관리 방법 (0) | 2025.05.05 |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결과로 본 한국 산업 트렌드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