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내부회계관리제도 (3)
회계 밖 세상

왜 내부회계관리제도가 필요한가요?기업의 재무제표는 투자자, 주주 등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이 회사의 상태를 파악하는 가장 중요한 창입니다. 따라서 그 정보의 신뢰성은 무엇보다 중요하죠. 하지만 과거에 발생했던 여러 대규모 회계부정 사건들은, 전통적인 외부 회계감사만으로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완벽하게 보장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무제표라는 '최종 결과물'뿐만 아니라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 자체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가 등장합니다. 이 제도는 재무 정보가 생성되고 처리되는 전 과정에 걸쳐 촘촘한 통제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최종 산출물인 재무제표에 대한 강한 믿음을 더해주는 역할을 합니다.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계획과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인과 경영진의 관점 차이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시, 감사인이 식별한 유의적인 계정이나 통제가 경영진이 선정한 것과 달라 혼란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무조건적인 미비점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복수 사업장의 통제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감사 기준서의 명확한 해설을 정리해 드립니다.1. 감사인이 식별한 유의적인 계정 등이 경영진과 다르면 내부회계관리제도 미비점인가요?경영진이 모범규준에 따라 유의적인 계정 등을 식별했다면, 감사인이 식별한 계정 등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미비점에 해당하지는 않습니다.하지만 감사인이 선정한 유의적인 계정 등을 경영진이 선정하지 않아, 감사인이 테스트 대상으로 선정한 통제를 회사가 '핵심통제'로 선정하지 않..

COSO 프레임워크와 내부회계관리제도 완벽 가이드 기업의 내부통제는 단순히 회계 숫자를 맞추는 것이 아닙니다. COSO(Committee of Sponsoring Organizations of the Treadway Commission) 프레임워크는 전 세계 기업들이 효과적인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1992년 첫 발표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COSO 프레임워크와 이를 기반으로 한 한국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역사, 현재, 그리고 실무 적용 방안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2019년부터 시행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겠습니다. 1. COSO 프레임워크의 탄생과 발전 1.1 C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