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기주식
- 골프
- 해외사업장
- K-IFRS
- 공정가치
- 재무회계
- 기능통화
- 기타포괄손익
- 골린이
- 기업회계
- 외감법
- 국제회계기준
- 유형자산
- 금융자산
- 회계처리
- 회계기준
- 상법
- 부가가치세
- k-ifrs 1023
- 세금신고
- 회계감사
- 재무제표
- 국세청
- 종합소득세
- IFRS
- 외부감사
- 내부회계
- 회계정책
- 연결재무제표
- 표시통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52)
회계 밖 세상
회계 및 재무 분석 업무를 하다 보면 엑셀의 한계(약 1,048,576행)를 넘는 대용량 데이터를 마주치게 됩니다. 특히 대기업의 원장 데이터나 ERP 시스템에서 추출한 거래 내역은 수백만 행에 달하는 경우가 많아 엑셀에서 직접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Python을 활용해 대용량 회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요약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문제 상황: 엑셀의 한계A 기업의 재무팀은 연간 비용 분석을 위해 원장 데이터를 추출했습니다. 그런데 이 데이터는 무려 400만 행 이상에 달했고, 30개 이상의 컬럼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자산 관리팀에서 추출한 유무형자산 데이터 역시 엑셀로 처리하기 어려운 크기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요약하고 의미 있는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
금융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기업의 회계처리에도 복잡성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복합금융상품(Compound Instrument)'과 '복합상품(Hybrid Instrument)'은 한글 명칭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회계적으로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개념의 차이점과 실무적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두 개념의 기본 정의복합금융상품(Compound Instrument)복합금융상품은 발행자 입장에서 금융부채 요소와 지분상품 요소가 하나의 금융상품에 동시에 포함된 형태를 말합니다. 즉, 하나의 증권 안에 부채적 성격과 자본적 성격이 모두 존재하는 것입니다.복합상품(Hybrid Instrument)복합상품은 주계약(host contract)과 내재파생상품(embedded deri..
IFRS(국제회계기준)에서 금융부채는 기업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부채'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회계기준 상의 '금융부채'는 아닐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IFRS에서 말하는 금융부채는 무엇이며, 다른 부채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IFRS 9에서 다루는 금융부채의 기본적인 정의와 계약상 의무라는 핵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IFRS, 금융부채를 어떻게 정의할까?IFRS 9에서는 금융부채를 열거 방식으로 설명합니다. 금융자산을 정의할 때처럼, 금융부채가 '무엇이다'라고 포괄적으로 정의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해당하면 금융부채로 본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거래 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
목차서론: IFRS 9 손상모형의 개요기대신용손실모형의 핵심 개념3단계 손상평가 프로세스실무에서 사용되는 손상차손 추정 방법론업종별 손상차손 인식 사례재무제표 공시와 활용실무 적용 시 주의사항과 해결방안결론1. 서론: IFRS 9 손상모형의 개요IFRS 9은 2018년 1월부터 시행된 국제회계기준으로, 금융자산의 손상에 대한 접근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이전 IAS 39의 '발생손실모형(Incurred Loss Model)'에서 '기대신용손실모형(Expected Credit Loss Model)'으로 전환함으로써, 손실 사건이 발생한 후에 손상을 인식하던 방식에서 미래지향적으로 예상되는 손실을 선제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했습니다.1.1 발생손실모형에서 기대신용손실모형으로의 전환 ..
회계를 공부하는 분들이나 실무자들에게 IFRS 9 금융상품 기준서는 늘 도전적인 영역입니다. 특히 금융자산의 분류와 측정 부분은 복잡한 개념과 조건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IFRS 9에 따른 금융자산의 분류체계와 그 기준, 그리고 실무 적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1. 금융자산 분류체계의 개요IFRS 9에서는 금융자산을 다음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합니다:상각후원가(Amortized Cost, AC) 측정 금융자산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Fair Value through Other Comprehensive Income, FVOCI) 측정 금융자산당기손익-공정가치(Fair Value through Profit or Loss, FVPL) 측정 금융자산이 분류는 두 가지 핵심 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사업주와 경리 담당자들이 헷갈려하는 '급여 지급시 공제한 원천징수세금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원천징수란 무엇인가?원천징수는 소득을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소득을 지급할 때 해당 소득에 대한 세금을 미리 공제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급여를 지급하는 회사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비과세소득을 공제한 금액에 대해 본인 및 가족사항을 고려한 간이세액표(국세청에서 발간)를 참고해 소득세(일명 '갑근세')와 지방소득세를 공제한 후 나머지 금액을 지급합니다.원천징수세금의 종류급여에서 공제되는 주요 원천징수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소득세(갑근세): 근로소득에 대한 기본 세금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에 해당하는 세금국민연금: 과세금액의 4.5% (회사도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