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4 (38)
회계 밖 세상
회계를 공부하다 보면 지분법 회계처리 중에서도 특히 유상증자와 관련된 부분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불균등 유상증자로 인해 지분율이 감소하는 경우의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불균등 유상증자란?먼저 불균등 유상증자란 기존 주주들이 자신의 지분율에 비례하지 않게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주주들 간의 지분율에 변동이 생깁니다.균등 유상증자: 모든 주주가 자신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증자에 참여 → 지분율 변동 없음불균등 유상증자: 주주별로 참여 비율이 다름 → 지분율 변동 발생지분율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투자회사가 피투자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지만, 자신의 기존 지분율보다 낮은 비율로 참여하거나, 다른 주주들이 더 많이 참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지분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융 거래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인 'Day Count Convention(일수 계산 관습)'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투자나 금융 업무를 하다 보면 한 번쯤은 마주치게 되는 이 개념, 왜 중요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함께 살펴볼게요.Day Count Convention이란?Day Count Convention은 금융 상품의 이자 계산에서 두 날짜 사이의 경과 기간을 어떻게 측정할지 정하는 규칙입니다. 단순히 달력상 날짜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금융 시장에서 합의된 특정 방식으로 시간을 계산합니다.이게 왜 중요할까요? 같은 기간이라도 계산 방식에 따라 이자 금액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에 연 5%의 이자율을 적용하더라도 날짜 계산 방식에 따라 실제 지..
금융 분야에서 자산 가치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이자율'입니다. 특히 현물이자율과 선도이자율은 채권 평가나 파생상품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현물이자율의 개념현물이자율은 만기까지 중간 이자지급이 없는 순수할인채권의 만기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달리 표현하면, 현재부터 특정 미래 시점까지의 연평균 수익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로쿠폰 이자율(Zero-Coupon Rate)이라고도 합니다.현물이자율의 핵심 특징은 기간별로 다른 이자율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1년 만기 현물이자율(₀R₁)2년 만기 현물이자율(₀R₂)3년 만기 현물이자율(₀R₃)이처럼 각 시점마다 고유한 현물이자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N개의 서로 다른 현..
5월이 되면 많은 개인사업자와 프리랜서들이 한 해의 수익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직장인들은 1월에 연말정산으로 세금 정산을 마치지만, 개인사업자나 부업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종합소득세를 별도로 신고해야 하죠. 종합소득세란 무엇이고, 어떻게 신고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얻은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득을 8가지로 분류하는데, 그중 6가지가 종합소득에 해당합니다:이자소득배당소득사업소득근로소득연금소득기타소득나머지 두 가지인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은 별도로 분류과세 됩니다. 이들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큰 금액인 경우가 많아 종합소득세에 포함시키면 세율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종합소득세와 근로소득세의 차이대부..
현대 기업 환경에서는 단순한 모회사-자회사 관계를 넘어선 복잡한 기업 지배구조가 흔히 발견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접-간접 혼합 지배구조'와 '상호소유 구조'라는 두 가지 복잡한 기업 구조에서 연결재무제표를 어떻게 작성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직접-간접 혼합 지배구조혼합구조의 이해직접-간접 혼합 지배구조란 모회사(A)가 자회사(B)를 직접 지배하면서, 동시에 다른 경로를 통해 또 다른 회사(C)를 간접적으로도 지배하는 구조입니다.예를 들어보겠습니다:A회사가 B회사의 70% 지분을 소유(직접 지배)B회사가 C회사의 45% 지분을 소유(B→C 간접 경로)A회사가 C회사의 30% 지분을 직접 소유(A→C 직접 경로)이 경우 A회사는 C회사를 직접(30%)과 간접(70% × 45% = 31.5%) 방식 모두..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단순한 지배-종속 관계를 넘어서는 복잡한 기업 구조를 마주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자-손자' 관계로 대표되는 간접지배 구조에서 연결재무제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다양한 지배-종속 관계의 유형현실 세계의 기업 구조는 단순히 한 회사가 다른 회사를 직접 지배하는 형태를 넘어 다양한 모습을 띱니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직접 지배: A회사가 B, C, D회사를 각각 직접 지배 (가장 단순한 형태)간접 지배(부자-손자): A회사가 B회사를 지배하고, B회사가 C회사를 지배복합형: 간접 지배와 직접 지배가 혼합된 형태 (A→B→C 관계와 함께 A→C 관계도 존재)상호 소유: A회사가 B회사를 지배하지만, B회사도 A회사 지분의 일부를 소유순환 지배: A→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