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K-IFRS
- 국제회계기준
- IFRS
- 표시통화
- 유형자산
- 외감법
- 기타포괄손익
- 종합소득세
- 재무제표
- 골프
- 연결재무제표
- 상법
- 회계처리
- 금융자산
- 자기주식
- 부가가치세
- 내부회계
- 기능통화
- 국세청
- 회계정책
- 공정가치
- 재무회계
- 해외사업장
- 외부감사
- 골린이
- 회계기준
- 기업회계
- 회계감사
- k-ifrs 1023
- 세금신고
- Today
- Total
목록유효이자율법 (2)
회계 밖 세상
 [IFRS 완전 정복] 금융자산 후속 측정, AC·FVOCI·FVPL 완벽 비교 분석
      
      
        [IFRS 완전 정복] 금융자산 후속 측정, AC·FVOCI·FVPL 완벽 비교 분석
        🔵 Intro: 취득 이후, 금융자산의 운명은?금융자산을 최초 측정한 후에는, 보유 기간 동안 그 가치 변동을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후속 측정'이라고 합니다. 금융자산은 그 분류(AC, FVOCI, FVPL)에 따라 이자 수익 인식 방법, 공정가치 평가 손익의 처리, 그리고 최종 처분 시 손익 인식이 모두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분류별 후속 측정의 핵심 포인트를 명확하게 비교하고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AC 금융자산: 꾸준한 현금흐름 수취의 길AC(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은 계약상 현금흐름 수취가 주된 목적인 채무 상품입니다. 따라서 후속 측정의 핵심은 '안정적인 이자 수익 인식'에 있습니다.공정가치 평가: 하지 않습니다. 시장 가격이 변동해도 장부금액에 반..
안녕하세요, IFRS 차입원가 자본화에 대한 시리즈의 마지막 글입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차입원가 자본화의 기본 개념과 접근법을, 두 번째 글에서는 적격자산과 자본화 기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의 범위와 실무 적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의 종류K-IFRS 1023에 따르면,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는 "당해 적격자산과 관련된 지출이 없었더라면 부담하지 않았을 차입원가"를 의미합니다. 즉, 적격자산 취득이나 건설을 위해 특별히 발생한 자금조달 비용을 말합니다.차입원가에 포함되는 항목차입금 이자:IFRS 9(금융상품)의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계산된 이자비용단기차입금, 장기차입금, 사채 등에 대한 이자비용리스 관련 금융비용:IFRS 16(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