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원가측정 (2)
회계 밖 세상

들어가며: '공짜 자산'을 둘러싼 해묵은 논쟁기업이 대주주나 정부로부터 토지나 건물 같은 유형자산을 무상으로 이전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회계 담당자라면 이 '공짜 자산'을 재무제표에 어떻게 기록해야 할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놀랍게도, 국제회계기준(IFRS)에는 이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어 지난 10여 년간 뜨거운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이 논쟁의 핵심과 각 주장의 근거를 깊이 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이 논쟁은 크게 두 가지 견해로 나뉩니다. 하나는 '지급한 대가가 없으니 자산의 원가는 0원'이라는 주장이고, 다른 하나는 '자산의 실질적 가치인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이익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왜 이렇게 상반된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는 걸까요?주장 1: 원가 원칙에 따라 '0원'..
무형자산은 기업 가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특히 기술 기업이나 제약 회사와 같이 지식 재산이 핵심인 기업에서는 무형자산의 적절한 인식과 측정이 재무제표의 정확성과 유용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무형자산의 인식 기준과 다양한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무형자산의 인식 기준K-IFRS 1038에 따르면, 무형자산으로 정의되는 항목이 재무상태표에 인식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기본 요건(식별 가능성, 통제력, 미래 경제적 효익)과 함께 다음 두 가지 인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1. 미래 경제적 효익의 유입 가능성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야 합니다. 이는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의 경제적 상황에 대한 경영진의 최선의 추정을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