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골프
- 유형자산
- 기타포괄손익
- IFRS
- 연결재무제표
- 재무회계
- 해외사업장
- 세금신고
- 골린이
- 회계기준
- 국세청
- 회계정책
- K-IFRS
- 재무제표
- 국제회계기준
- 표시통화
- 회계감사
- 외감법
- 회계처리
- 부가가치세
- k-ifrs 1023
- 금융자산
- 내부회계
- 기업회계
- 자기주식
- 상법
- 종합소득세
- 공정가치
- 외부감사
- 기능통화
- Today
- Total
목록회계이야기 (109)
회계 밖 세상
회계를 공부하거나 실무를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은 마주치게 되는 이연법인세. 솔직히 말하면 처음에는 정말 어렵습니다. 저도 처음 배울 때 "도대체 이게 뭐지?" 하면서 머리를 쥐어뜯었던 기억이 납니다.그런데 막상 이해하고 나면 "아, 이런 거였구나!" 하게 되죠. 오늘은 여러분이 그 깨달음의 순간을 맞을 수 있도록 이연법인세에 대해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 언제 인식할 수 있을까?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는 조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요.주로 두 가지 경우에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합니다첫 번째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입니다. 이게 뭐냐면, 미래에 세무 조정을 할 때 마이너스 세무 조정을 함으로써 미래의 세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거예요. 예를 들어, 회계상으로는 대손충당..
회계 업계에 거대한 변화의 물결이 밀려오고 있습니다. 바로 2027년부터 시행될 K-IFRS 제1118호 '재무제표 표시와 공시' 기준서 때문인데요. 지난 2025년 4월 15일, 한국회계기준원 주최로 열린 제정 공개초안 세미나에서는 이 새로운 기준서의 주요 내용과 핵심 쟁점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습니다.단순한 회계 처리 변경을 넘어 기업의 성과 측정 방식과 소통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K-IFRS 제1118호! 이번 개정이 왜 중요하고, 실무자들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며, 현장에서 어떤 뜨거운 논쟁들이 오갔는지 알기 쉽게 총정리해 드립니다.K-IFRS 제1118호, 대체 무엇이길래?K-IFRS 제1118호는 2024년 4월 9일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확정 발표한 IFRS 18 '재무제표 ..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업 경영과 회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주식기준보상(Share-based Payment) 특히 스탁 옵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보상 전략으로 스탁 옵션을 활용하고 있는데요, 회계적으로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주식기준보상이란 무엇일까요?주식기준보상은 IFRS 2(한국에서는 K-IFRS 제1102호)에서 다루는 회계 기준으로, 기업이 종업원이나 다른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고 그 대가로 현금이 아닌 기업의 지분상품을 지급하는 거래를 말합니다.쉽게 설명하자면, "월급 대신 회사 주식이나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줄게"라고 약속하는 것이죠. 이런 방식은 종업원들에게 회사의 성장..
안녕하세요, K-IFRS 1115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중 실무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특수 거래 형태의 수익 인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K-IFRS 1115는 다양한 산업과 거래 형태를 포괄할 수 있도록 특수한 거래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수 거래 형태를 다룰 예정입니다:위탁 약정 (Consignment Arrangements)미인도 청구 약정 (Bill-and-Hold Arrangements)재매입 약정 (Repurchase Agreements)고객 선택권 및 상품권 (Customer Options and Gift Cards)본인 vs 대리인 (Principal vs Agent)1. 위탁 약정 (Consignment Ar..
안녕하세요, 재무와 회계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기업 회계에서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익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볼게요. 특히 K-IFRS 1115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기준서는 많은 기업들이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제인데요, 이 복잡한 기준서를 쉽게 풀어보려 합니다.저도 처음 이 기준서를 공부할 때 머리가 아팠던 기억이 나네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차근차근 접근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수익,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기업 재무제표에서 가장 먼저 보는 숫자가 무엇일까요? 바로 '매출액' 또는 '수익'이죠. 수익은 기업 활동의 가장 핵심적인 성과지표로, 주주와 투자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숫자입니다. 그만큼 수익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측정하는 것은 기업 평가의 근간이 됩니다.K-..
들어가며: 지분법 투자와 이연법인세 문제기업이 다른 기업에 투자할 때, 그 투자 방식과 영향력 수준에 따라 회계 처리가 달라집니다. 특히 관계기업과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는 지분법을 적용하여 회계 처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회계와 세법 간의 차이로 인한 이연법인세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분법 적용 시 발생하는 이연법인세 부채 인식에 있어 관계기업과 종속기업 간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고자 합니다.관계기업과 종속기업의 정의 및 구분먼저, 관계기업과 종속기업의 정의를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관계기업(Associate)관계기업은 투자자가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나 지배하지는 않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피투자기업에 대한 의결권의 20% 이상 50% 미만을 보유할 때 유의적인 영향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