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골린이
- 재무회계
- K-IFRS
- 내부회계
- 외부감사
- 유형자산
- 표시통화
- 회계처리
- 외감법
- 연결재무제표
- 기능통화
- 기타포괄손익
- 골프
- 부가가치세
- 자기주식
- IFRS
- 상법
- 금융자산
- 종합소득세
- 세금신고
- 회계정책
- 해외사업장
- 기업회계
- k-ifrs 1023
- 재무제표
- 공정가치
- 회계감사
- 회계기준
- 국제회계기준
- 국세청
- Today
- Total
목록회계이야기 (109)
회계 밖 세상
기업 그룹의 재무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결재무제표의 작성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기업의 인수, 합병, 지분 매각과 같은 거래가 빈번한 오늘날의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오늘은 연결재무제표 작성 시 자주 마주치게 되는 복잡한 지배력 상실 케이스들을 살펴보겠습니다.1. 일부 지분 매각 후 지배력 상실지배기업이 종속기업 지분을 전부 매각하는 대신 일부만 매각하여 지배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80% 지분을 보유했던 기업이 그중 60%를 매각하고 20%는 계속 보유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회계처리 핵심지배력 상실 시 처리 절차: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일단 합산하여 연결재무제표 작성종속기업의 모든 자산, 부채 제거영업권 제거 (있는 경우)비지배지분 제거..
기업 세계에서 자회사에 대한 지분 변동은 일상적인 일입니다. 기업은 전략적 목적으로 자회사 지분을 추가로 취득하기도 하고, 때로는 매각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거래가 연결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보고기간 중 지배력 취득과 종속기업 투자 매각에 초점을 맞춰 알아보겠습니다.1. 보고기간 중 지배력 취득: 언제부터 연결해야 할까?기존 교과서적인 예시에서는 항상 보고기간 초(1월 1일)에 지배력을 취득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기업들이 연중 언제든지 지배력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 연결재무제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핵심 원칙: 지배력 취득 시점부터 연결연결재무제표에는 지배력을 보유한 기간 동안의 종속기업 성과만 포함합니다.예를 들어, A회..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가장 복잡하면서도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는 지배기업의 지분율이 변동하는 경우입니다. 기업이 다른 기업의 지분을 한 번에 취득하는 경우는 드물죠. 대부분 여러 차례에 걸쳐 지분을 취득하거나, 지배력을 획득한 후에도 추가로 지분을 매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지배기업 지분율 변동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단계적 취득: 조금씩 사다가 드디어 지배력을 획득한 경우단계적 취득이란 여러 차례에 걸쳐 피투자자의 지분을 조금씩 취득하다가 결국 지배력을 획득하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이 B기업의 지분을 처음에 10%, 그 후 50%를 추가로 취득하여 총 60%의 지배지분을 갖게 된 경우입니다.이전 지분의 분류지배력을 취득하기 전까지는 피투자..
기업이 다른 회사를 인수하거나 중요한 지분을 취득할 때, 인수가격이 피인수 회사의 장부상 순자산 가치보다 높은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때 그 차이를 어떻게 회계처리 해야 할까요? 이러한 상황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로 '매수가격배분(Purchase Price Allocation, PPA)'입니다.1. PPA란 무엇인가?PPA는 기업 인수 시 지불한 대가를 피인수 회사의 각 자산과 부채에 배분하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얼마를 주고 회사를 샀는지, 그리고 그 금액이 실제로 어떤 자산과 부채에 배분되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예를 들어, A회사가 B회사의 지분 30%를 80억 원에 취득했는데, B회사의 순자산 장부가액의 30%가 20억 원이라면, 차이인 60억 원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이 차이를 전부 영..
타 회사에 투자했을 때, 그 회사의 성과와 재무상태를 자사의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까? 단순히 배당금만 인식할 수도 있지만, 투자 회사의 영향력에 따라 더 복잡한 회계처리가 필요하다. 오늘은 투자 회계처리의 3가지 주요 방식—지분법, 비례연결, 연결—을 알기 쉽게 비교해 보자세 가지 회계처리 방식의 개념1. 지분법(Equity Method)투자한 회사의 순자산 변동분을 지분율만큼 한 줄로 반영일명 "원 라인 컨솔리데이션(One-line Consolidation)"주로 관계기업(유의적 영향력이 있는 기업)에 적용2. 비례연결(Proportionate Consolidation)투자한 회사의 자산, 부채, 수익, 비용을 지분율만큼 가져와 합침"프로포셔닝 컨솔리데이션(Proportioning Consolida..
국제회계기준(IFRS)은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회계기준으로, 기업의 재무제표를 일관되게 작성하도록 도와줍니다. IFRS의 구성국제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전문 (Preface to IFRSs): IFRS의 목적, 범위, 회계 처리 방법, 공시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개념체계 (Framework):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와 보고기업, 재무제표의 요소, 인식과 제거, 측정, 표시와 공시, 자본 및 자본유지의 개념 등을 포함합니다.기준서 (Standards):IAS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C)에서 제정한 기준서입니다. 예: IAS 1, IAS 2, ..., 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