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
| 4 | 5 | 6 | 7 | 8 | 9 | 10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회계감사
- 골프
- 내부회계
- 회계기준
- 상법
- 회계처리
- 골린이
- 연결재무제표
- 재무회계
- K-IFRS
- 기타포괄손익
- 금융자산
- 기능통화
- 외감법
- 부가가치세
- 국제회계기준
- 세금신고
- 공정가치
- 외부감사
- 해외사업장
- 자기주식
- IFRS
- 국세청
- 재무제표
- k-ifrs 1023
- 종합소득세
- 기업회계
- 회계정책
- 유형자산
- 표시통화
- Today
- Total
목록2025/05/30 (2)
회계 밖 세상
기업이 해외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거나 해외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를 연결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면, 자사의 기능통화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외부 공표를 위한 표시통화로 환산해야 할 필요성이 생깁니다. 국제회계기준(IFRS)은 이러한 경우 '현행환율법'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재무제표 각 항목의 성격에 따라 상이한 환율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구체적으로,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 말의 마감 환율로, 포괄손익계산서의 수익과 비용은 해당 거래일의 환율 또는 실무적인 편의를 위해 해당 기간의 평균 환율로 환산합니다. 자본금과 같은 납입자본 항목은 거래가 발생한 시점의 역사적 환율을 적용하며, 이익잉여금은 직접 환산하는 대신 기초 잔액에 표시통화로 환산된 당기순이익을 가감하여 산출합니다.이렇게..
외화거래 회계처리는 거래 발생부터 결제까지 일관된 원칙을 따릅니다. 먼저 외화거래가 발생하면 거래일의 현물환율을 적용해 기능통화로 환산하여 기록합니다. 보고기간 말에는 화폐성 항목(현금, 채권, 채무 등)을 마감환율로 재환산하고 발생한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반면, 비화폐성 항목은 측정기준에 따라 다르게 처리하는데, 역사적원가 항목은 거래일 환율을 유지하고, 공정가치 항목은 공정가치 결정일 환율로 환산합니다. 화폐성 항목이 결제될 때 발생하는 환율차이도 당기손익으로 처리하며,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항목의 환율효과는 해당 공정가치 변동의 인식방법(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과 동일하게 회계처리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통해 기업은 국제거래에서 발생하는 환율변동의 영향을 재무제표에 체계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