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기업회계
- 내부회계
- 연결재무제표
- 유형자산
- 금융자산
- 재무제표
- K-IFRS
- k-ifrs 1023
- 공정가치
- 회계정책
- 부가가치세
- 기타포괄손익
- 골프
- 기능통화
- 골린이
- 재무회계
- 회계감사
- 종합소득세
- 회계처리
- IFRS
- 외감법
- 국세청
- 해외사업장
- 상법
- 자기주식
- 외부감사
- 세금신고
- 회계기준
- 표시통화
- 국제회계기준
- Today
- Total
목록2025/01 (8)
회계 밖 세상
‘경상수지(Current Account)’는 한 나라가 해외와 거래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구체적으로 상품수지(재화 수출입), 서비스수지(관광, 운송 등), 본원소득수지(배당·이자·임금 등), 이전소득수지(해외 송금 등)가 모두 포함된다. 경상수지가 흑자라는 것은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돈(수출, 해외투자 수익 등)이 해외로 지출하는 돈(수입, 해외투자 비용 등)보다 많다는 뜻이고, 적자라면 반대로 해외 지출이 해외 수입을 초과하는 상태를 말한다.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는 해당 국가의 대외 거래를 보여주는 바로미터인 만큼, 국가 경제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1. 경상수지 흑자의 의미와 영향해외 자산 증가경상수지 흑자는 해외로부터 벌어들인 돈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므로, 순자산(해외에 대한 채..
경제학은 크게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으로 나뉜다. 이 두 분야는 모두 경제 현상을 분석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연구 대상과 접근 방식은 상당히 다르다. 거시경제와 미시경제가 어떤 점에서 구분되고, 각각 어떤 내용을 다루는지 살펴보자.1. 거시경제(Macroeconomics)의 개념거시경제학은 한 나라 혹은 전 세계의 경제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학문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국내총생산(GDP)과 경제성장률한 나라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합(GDP)과 그 성장 추이를 살핀다. 이를 통해 경제의 ‘규모’와 ‘성장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물가와 인플레이션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어떻게 변동하는지, 왜 물가가 오르거나 내리는지, 그리고 그 영향은 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