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외부감사
- 회계처리
- 기타포괄손익
- 국세청
- 재무회계
- 유형자산
- 외감법
- IFRS
- 공정가치
- 부가가치세
- 기업회계
- 회계감사
- 금융자산
- 연결재무제표
- 세금신고
- 골린이
- 해외사업장
- 표시통화
- 재무제표
- k-ifrs 1023
- 국제회계기준
- 자기주식
- 종합소득세
- 회계정책
- 골프
- 상법
- 기능통화
- 내부회계
- 회계기준
- K-IFRS
- Today
- Total
목록환율 (3)
회계 밖 세상
 우리 회사의 진짜 돈은 무엇? 기능통화, 제대로 알고 결정하기
      
      
        우리 회사의 진짜 돈은 무엇? 기능통화, 제대로 알고 결정하기
        '기능통화'란 무엇일까요?글로벌 시대, 기업의 활동은 국경을 넘어 다양한 통화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는 단 하나의 기준 통화가 필요하죠. 이처럼 기업이 영업활동을 기록하고 보고하는 데 사용하는 주된 통화를 바로 '기능통화(Functional Currency)'라고 합니다. 오늘은 이 기능통화가 무엇이며 어떻게 결정되고, 변경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많은 분들이 '우리나라 기업이면 당연히 원화(₩)로 회계 처리하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제회계기준(IFRS)을 따르는 일부 기업, 특히 해운업이나 무역업처럼 거래의 상당 부분이 달러($)로 이루어지는 곳들은 기능통화를 달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기능통화(Functional Currency)]: 기업의..
 기능통화 vs 표시통화, 우리 회사에 맞는 통화는? (결정 방법 완벽 정리)
      
      
        기능통화 vs 표시통화, 우리 회사에 맞는 통화는? (결정 방법 완벽 정리)
        1. 환율변동효과 회계처리의 개요🔵 Intro: 왜 환율변동효과 기준이 필요할까? (K-IFRS 제1021호)글로벌 시대에 기업들은 외화 거래나 해외 사업장 운영 등 다양한 외화 관련 활동을 합니다. K-IFRS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는 이러한 외화 거래와 해외 사업장의 실적을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하고, 또 재무제표를 다른 통화로 어떻게 환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이 기준의 핵심은 '기능통화'를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외화 거래를 환산하며, 최종적으로 재무제표를 '표시통화'로 나타내는 일련의 과정을 다룹니다.💧 Tip: 2025년 적용 예정 개정 내용2025년부터 적용될 개정안은 두 통화 간 교환이 불가능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적용할 환율에 대한 규정..
환율은 한 나라의 통화와 다른 나라의 통화 간 교환 비율을 의미한다.이는 국제 거래와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율 변동은 경제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친다. 환율은 국제 경제와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환율 변동은 수출입, 물가, 외채 등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정부와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을 통해 환율을 안정시키고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환율의 정의와 유형환율은 외환 시장에서 형성되며,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첫째, 고정 환율이다. 이는 정부가 자국 통화의 가치를 특정 외국 통화에 고정시키는 제도이다. 둘째, 변동 환율이다. 이는 외환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환율이 자유롭게 변동하는 제도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