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본금 (2)
회계 밖 세상

이번 시간에는 지분 상품과 자본에 대해 알아봅니다. 기업의 근간이 되는 자본의 개념부터 시작하여, 일반 기업회계 기준에 따른 자본의 5가지 분류(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에 따른 회계처리를 상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재무상태표의 핵심인 자본 항목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1. 지분 상품의 의의와 분류 기준📖 지분 상품(Equity Instrument)이란?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 지분을 나타내는 모든 계약을 의미합니다. 즉, '순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며, 흔히 '주식'이 대표적인 예입니다.금융 상품이 지분 상품으로 분류되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계약상 의무 부재: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해야 하거나, 발행..
상법상 회사의 최저자본금 기준은 개정되어 100원 이상의 자본금만 있으면 회사 설립이 가능하다. 다만 회사의 사업목적에 비추어 건설, 관광업, 기타 개별 법률에 다양한 자본금 규정을 가지고 있다. 주식은 자본금의 단위가 되고, 주주의 지위를 나타내는 의미가 있다. 회사 설립시에 정관에 주식의 1주의 액면가와 설립시 발행할 주식의 총수를 정하고 발기인 전원의 동의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발행가격을 정한다. 이에따라 "설립시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 X 액면가"를 하면 상법 제 451조에 규정된 자본금이 된다. 주식을 가지는 경우 주주는 회사에 대한 의결에 참여할 수 있고, 이익배당, 신주인수권 등을 통해 투자에 대한 대가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상법 제289조(정관의 작성, 절대적 기재사항) 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