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스부채 (2)
회계 밖 세상

1. 리스의 정의 및 핵심 판단 기준🔵 Intro: 리스란 무엇일까요?리스는 대가와 교환하여 자산(기초자산)의 사용권을 일정 기간 이전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실무에서는 특정 계약이 '리스'인지 아니면 단순히 용역을 제공하는 '서비스 계약'인지 판단하기가 매우 복잡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철도로 제품을 운송할 때 철도 차량을 직접 빌리는 것(리스)과 화물 운송회사에 운송을 맡기는 것(서비스)은 회계 처리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새로운 리스 기준서(IFRS 16)에서는 단기/소액 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를 자산(사용권자산)과 부채(리스부채)로 인식해야 하므로, 계약의 실질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Highlight: 리스 판단의 두 가지 핵심 조건어떤 계약이 리스..
[2020-I-KQA002] 토지사용권의 리스기준서 적용여부 【배경 및 질의】 회사의 해외현지법인은 해외(베트남 등)에서 50년의 토지사용권을 취득하고 토지사용료를 일괄 납부하였다. 해당 국가의 모든 토지는 국가 소유이며, 외국인 및 외국투자기업은 해당 국가 정부나 공단 기반시설 개발업자로부터 토지사용권을 취득하거나 토지를 임차할 수 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에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8호 ‘무형자산’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라이선싱 계약에 따라 영화필름, 비디오 녹화물, 희곡, 원고, 특허권, 저작권과 같은 항목에 대하여 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 권리를 그 기준서의 적용범위에서 제외하고, 이러한 항목이 아닌 다른 무형자산 리스에는 그 기준서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