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제이야기 (62)
회계 밖 세상
TRS란 무엇인가요?TRS(Total Return Swap, 총수익스왑)는 쉽게 말해, 주식의 경제적 이익은 누리면서도 형식적인 소유권은 넘길 수 있는 계약입니다.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굉장히 많이 활용하고 있는 금융계약으로, 지배력 판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예를 들어 A기업의 대주주가 보유 지분을 증권사에 넘기고 돈을 받아옵니다. 이 과정에서 주식을 판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결권은 그대로 유지하고 시세차익이나 배당도 대주주가 챙깁니다. 즉, 지분은 팔았는데 영향력은 그대로인 셈이죠.TRS의 기본 구조TRS 계약의 기본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지분 이전: 대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증권사에 매각합니다. 이때 대주주는 현금을 받게 되어 유동성을 확보합니다.의결권: 일반..
1.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배경2015년, 삼성그룹은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대대적인 구조 재편을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이었습니다. 합병의 구조적 의미:제일모직은 이재용 부회장이 상당한 지분(약 23%)을 보유한 회사였습니다삼성물산은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하며 '그룹 내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었습니다두 회사의 합병을 통해 이재용 → 제일모직 → 삼성물산 → 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지배구조 강화 효과가 발생했습니다.2. 합병 비율, 어떻게 결정되었나?합병 비율은 각 회사의 기업가치 평가에 따라 정해집니다. 제일모직의 가치가 높고 삼성물산의 가치가 낮게 평가될수록, 합병 후 이재용 부회장의 지분 가치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습니다.제일모직은 당시 비상장사였기..
구조조정(Restructuring)은 기업이 경영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조직, 인력, 자산, 사업구조 등을 개편하는 경영 전략이다. 과거에는 부실기업의 생존 전략으로 인식되었지만, 오늘날에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경영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구조조정이 필요한 이유와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구조조정의 중요성과 성공 요인을 살펴보겠다. 1. 구조조정의 개념과 필요성구조조정이란?구조조정은 기업이 경쟁력 강화, 비용 절감, 경영 효율화를 위해 조직 내부의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편하고, 핵심 역량에 집중하도록 하는 전략적 결정이다.인력 구조조정: 인력 감축, 직무 재설계, 인력 재배치사업 구조조정: 비핵심 사업 매각, 신규 사업 진출, 사업 부문 통합재무 구조조정: 부채 구조 개선, ..
세계 경제는 국가 간 교역을 통해 성장해왔다. 하지만 경제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국가 간 관세 부과와 무역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무역분쟁이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관세의 개념과 기능, 무역전쟁의 원인과 경제적 영향, 그리고 해결 방안을 살펴보겠다.1. 관세란 무엇인가?관세(Tariff)는 한 나라가 해외에서 들어오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기본적으로 수입품의 가격을 높여 자국 산업 보호, 무역 불균형 조정, 세수 확보 등의 목적을 가진다.관세의 주요 기능국내 산업 보호 : 해외 기업이 저렴한 가격으로 수출하는 경우, 자국의 기업들이 가격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여 수입품의 가격을 올려 자국 기업을 보호한..
공적자금(Public Funds)은 금융위기 발생 시 국가가 은행 및 금융기관을 지원하기 위해 투입하는 자금을 의미한다. 경제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금융시장의 연쇄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세금이나 정부 채권을 통해 조달된다. 과거 여러 금융위기에서 공적자금이 핵심 해결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한국 역시 IMF 외환위기(1997년)와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당시 대규모 공적자금을 투입했다. 1. 공적자금의 개념과 목적공적자금이란 국가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금융기관에 지원하는 자금이다. 이 자금은 은행의 지급불능 사태를 방지하고, 금융 시스템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공적자금의 주요 목적금융 시스템 안정화 : 금융기관이 부실해지면 예금자들이 돈을 인출하는 ‘뱅크런(Bank ..
공매도(空賣渡, Short Selling)는 주식 투자에서 논란이 많은 주제 중 하나다. 주가 하락 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전략으로 활용되는 반면, 시장 변동성을 키우고 개미 투자자(개인 투자자)들에게 불리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공매도의 개념과 방식, 그리고 투자자 입장에서 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알아보겠다. 1. 공매도란? (Short Selling의 개념)공매도란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판 후, 이후에 낮은 가격에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이다. 즉, 일반적인 주식 거래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방식이라면, 공매도는 "비싸게 팔고 나중에 싸게 사는" 역발상 투자라고 할 수 있다.✅ 공매도 거래의 기본 구조투자자는 증권사(혹은 기관, 대여자)에서 특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