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취득원가
- 기업가치
- 내부회계
- 원상회복 의무
- 자가건설
- k-ifrs 1016호
- 부가가치세
- 감사인
- 무형자산
- 복구충당부채
- 충당부채
- k-ifrs 1023
- 소득세
- 세금신고
- 국세청
- 회계처리
- 유형자산 회계실무
- 골린이
- 유형자산
- 사례분석
- 회계정책
- 골프
- 종합소득세
- 유상증자
- 지분법
- 연말정산
- 회계원칙
- 연결
- 영업권
- K-IFRS
- Today
- Total
회계 밖 세상
IFRS 차입원가 자본화: 특정 차입금과 일반 목적 차입금이 혼합된 경우의 계산 본문
안녕하세요, IFRS 차입원가 자본화에 관한 시리즈의 다섯 번째 글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일반 목적 차입금만 있는 경우의 자본화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정 차입금과 일반 목적 차입금이 모두 있는 경우, 즉 혼합된 경우의 자본화 계산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정 차입금과 일반 목적 차입금이 모두 있는 경우의 계산법
기업이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특정 목적으로 자금을 차입하고, 동시에 일반 목적 차입금도 있는 경우, 자본화할 차입원가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경우에는 다음 두 가지를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 특정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1. 특정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특정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는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특정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특정 차입금 × 이자율 ×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의 겹치는 기간 / 12)
여기서 중요한 점은 특정 차입금의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겹치는 기간만을 고려한다는 것입니다.
2.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는 다음 과정을 통해 계산합니다:
2-1.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계산
각 지출에 해당 연도에서 차지하는 기간(월)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가중평균을 계산합니다.
2-2. 특정 차입금 평균 계산
특정 차입금에도 가중치(월)를 적용하여 평균을 계산합니다.
2-3.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적격자산 지출액 계산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에서 특정 차입금 평균을 차감합니다: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지출액 =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 특정 차입금 평균
2-4.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의 가중평균이자율을 계산합니다:
자본화이자율 = 일반 목적 차입금 이자비용 ÷ 일반 목적 차입금 평균잔액
2-5.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지출액 × 자본화이자율
3. 총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총 자본화 차입원가 = 특정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일반 목적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예제 1의 기본적인 계산 방법
다음 예제를 통해 특정 차입금과 일반 목적 차입금이 모두 있는 경우의 기본적인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예제 1 : 기본적인 혼합 계산 사례
사례 정보:
- A회사는 공장건물을 신축 중 (공사기간: 1년도 3월 1일 ~ 2년도 9월 30일)
- 공사비 지출:
- 1년도: 3월 1일 200만원, 10월 1일 400만원
- 2년도: 4월 1일 300만원, 8월 31일 200만원
- 차입금 현황:
- 차입금A: 300만원(연 6%, 1년도 3월 1일 차입, 2년도 9월 30일 상환) - 특정 목적 차입금
- 차입금B: 200만원(연 6%, 1년도 2월 1일 차입, 2년도 11월 30일 상환) - 일반 목적 차입금
- 차입금C: 500만원(연 5%, 1년도 8월 1일 차입, 2년도말까지 보유) - 일반 목적 차입금
1년도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1단계: 특정 차입금(A)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1년도 특정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300만원 × 6% × 10/12
= 300만원 × 6% × 0.833
= 15만원
여기서:
- 300만원: 특정 차입금 금액
- 6%: 연 이자율
- 10/12: 1년도 중 겹치는 기간(3월~12월)
2단계: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1.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계산
1년도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 (200만원 × 10/12) + (400만원 × 3/12)
= 166.67만원 + 100만원
= 266.67만원
2-2. 특정 차입금 평균 계산
1년도 특정 차입금 평균
= 300만원 × 10/12
= 250만원
2-3.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적격자산 지출액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지출액
= 266.67만원 - 250만원
= 16.67만원
2-4.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
1년도 일반 목적 차입금 이자비용
= (200만원 × 6% × 11/12) + (500만원 × 5% × 5/12)
= 11만원 + 10.42만원
= 21.42만원
1년도 일반 목적 차입금 평균잔액
= (200만원 × 11/12) + (500만원 × 5/12)
= 183.33만원 + 208.33만원
= 391.67만원
자본화이자율 = 21.42만원 ÷ 391.67만원 = 5.47%
2-5.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16.67만원 × 5.47%
= 0.91만원
3단계: 총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1년도 총 자본화 차입원가
= 15만원 + 0.91만원
= 15.91만원
2년도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1단계: 특정 차입금(A)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년도 특정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300만원 × 6% × 9/12
= 300만원 × 6% × 0.75
= 13.5만원
2단계: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1.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계산
여기서 주의할 점은 1년도에 지출한 금액(600만원)도 2년도 자본화 계산에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2년도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 (600만원 × 9/12) + (300만원 × 6/12) + (200만원 × 1/12)
= 450만원 + 150만원 + 16.67만원
= 616.67만원
2-2. 특정 차입금 평균 계산
2년도 특정 차입금 평균
= 300만원 × 9/12
= 225만원
2-3.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적격자산 지출액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지출액
= 616.67만원 - 225만원
= 391.67만원
2-4.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
2년도 일반 목적 차입금 이자비용
= (200만원 × 6% × 11/12) + (500만원 × 5% × 12/12)
= 11만원 + 25만원
= 36만원
2년도 일반 목적 차입금 평균잔액
= (200만원 × 11/12) + (500만원 × 12/12)
= 183.33만원 + 500만원
= 683.33만원
자본화이자율 = 36만원 ÷ 683.33만원 = 5.27%
2-5.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391.67만원 × 5.27%
= 20.64만원
3단계: 총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년도 총 자본화 차입원가
= 13.5만원 + 20.64만원
= 34.14만원
예제 2 -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계산법
이번에는 특정 차입금의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일치하지 않는 복잡한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실제 비즈니스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일치하지 않는 세 가지 구간
특정 차입금의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일치하지 않을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간 1: 차입은 되었으나 건설이 시작되지 않은 기간
- 특정 차입금이지만 아직 적격자산 건설에 사용되지 않음
- 이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하지 않고 비용 처리
- 구간 2: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겹치는 기간
- 특정 차입금이 적격자산 건설에 사용됨
- 이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
- 구간 3: 건설은 종료되었으나 차입금이 상환되지 않은 기간
- 특정 차입금의 목적(적격자산 건설)이 달성됨
- 이 기간부터는 해당 차입금을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간주
- 이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하지 않고 비용 처리
예제 2 : 복잡한 구간 계산 사례
추가 조건:
- 차입금A의 차입 기간이 1년도 1월 1일부터 2년도 12월 31일까지로 변경 (3월 1일 → 1월 1일)
- 1년도 6월 1일부터 한 달 동안 자본화 중단 기간 존재
이 경우 세 가지 구간이 모두 존재합니다:
- 구간 1: 1년도 1월 1일 ~ 2월 28일 (차입O, 건설X)
- 구간 2: 1년도 3월 1일 ~ 2년도 9월 30일 (차입O, 건설O)
- 단, 1년도 6월은 자본화 중단 기간
- 구간 3: 2년도 10월 1일 ~ 12월 31일 (차입O, 건설X)
1년도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복잡한 상황)
1단계: 특정 차입금(A)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1년도 특정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300만원 × 6% × 9/12 # 10개월에서 중단 기간 1개월 차감
= 300만원 × 6% × 0.75
= 13.5만원
여기서:
- 구간 1(1~2월)의 이자는 자본화하지 않음
- 구간 2 중 자본화 중단 기간(6월)의 이자도 자본화하지 않음
- 따라서 자본화 기간은 3~5월, 7~12월로 총 9개월
2단계: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1.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계산
자본화 중단 기간도 고려해야 합니다:
1년도 적격자산 평균 지출액
= (200만원 × 9/12) + (400만원 × 3/12) # 10개월에서 중단 기간 1개월 차감
= 150만원 + 100만원
= 250만원
2-2. 특정 차입금 평균 계산
1년도 특정 차입금 평균
= 300만원 × 9/12
= 225만원
2-3.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적격자산 지출액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지출액
= 250만원 - 225만원
= 25만원
2-4.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
이 부분은 예제 1과 동일합니다:
자본화이자율 = 5.47%
2-5.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25만원 × 5.47%
= 1.37만원
3단계: 총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1년도 총 자본화 차입원가
= 13.5만원 + 1.37만원
= 14.87만원
2년도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복잡한 상황)
1단계: 특정 차입금(A)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년도 특정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300만원 × 6% × 9/12
= 13.5만원
2단계: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1 ~ 2-3 단계는 예제 1과 동일합니다: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충당한 지출액 = 391.67만원
2-4.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
여기서 중요한 변화가 있습니다. 2년도 10월부터 12월까지는 특정 차입금A가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간주됩니다(구간 3).
2년도 일반 목적 차입금 이자비용
= (200만원 × 6% × 11/12) + (500만원 × 5% × 12/12) + (300만원 × 6% × 3/12)
= 11만원 + 25만원 + 4.5만원
= 40.5만원
2년도 일반 목적 차입금 평균잔액
= (200만원 × 11/12) + (500만원 × 12/12) + (300만원 × 3/12)
= 183.33만원 + 500만원 + 75만원
= 758.33만원
자본화이자율 = 40.5만원 ÷ 758.33만원 = 5.34%
2-5. 일반 목적 차입금 관련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일반 목적 차입금 자본화 차입원가
= 391.67만원 × 5.34%
= 20.92만원
3단계: 총 자본화 차입원가 계산
2년도 총 자본화 차입원가
= 13.5만원 + 20.92만원
= 34.42만원
주요 주의사항
특정 차입금과 일반 목적 차입금이 혼합된 경우의 자본화 계산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정 차입금 우선 적용
적격자산 지출에는 항상 특정 차입금을 우선적으로 충당한다고 가정합니다. 특정 차입금을 초과하는 지출액에 대해서만 일반 목적 차입금을 적용합니다.
2. 구간별 처리 방법
- 구간 1(차입O, 건설X): 특정 차입금이더라도 이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하지 않고 비용 처리
- 구간 2(차입O, 건설O): 이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
- 구간 3(차입O, 건설X): 특정 차입금이더라도 목적이 달성되어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간주하며, 이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하지 않고 비용 처리
3. 자본화 중단 기간의 처리
적극적인 개발 활동이 중단된 기간의 이자는 자본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시적인 중단이 개발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인 경우(예: 날씨로 인한 중단)에는 자본화를 계속합니다.
4.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 시 구간 3의 처리
구간 3에서 특정 차입금이 일반 목적 차입금으로 전환된 경우, 이를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이자율 계산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특정 차입금과 일반 목적 차입금이 혼합된 경우의 자본화 계산 방법, 특히 차입 기간과 건설 기간이 일치하지 않는 복잡한 상황에서의 계산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실무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상황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구간별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세 가지 구간을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재무 보고가 가능해집니다.
'회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형자산의 기본 개념과 정의 (0) | 2025.05.05 |
---|---|
IFRS 차입원가 자본화: 일반 목적 차입금의 자본화 계산 (0) | 2025.05.05 |
IFRS 차입원가 자본화: 자본화 가능 차입원가의 범위와 실무 적용 (0) | 2025.05.05 |
IFRS 차입원가 자본화: 적격자산 및 자본화 기간 (0) | 2025.05.05 |
IFRS 차입원가 자본화: 기본 개념 및 논쟁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