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업권 (4)
회계 밖 세상
지분법을 적용할 때 가장 복잡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지분법자본변동입니다. 특히 해외 관계사에 대한 지분법 적용 시에는 환율 변동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지분법자본변동 계산이 더욱 복잡해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 관계사에 대한 지분법자본변동 계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지분법자본변동이란?지분법자본변동(Capital Adjustment from Equity Method)은 피투자회사의 자본 변동 중 당기순손익 이외의 변동에 대한 투자회사의 지분을 반영하는 항목입니다. 즉, 피투자회사의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 내 직접적인 변동에 대한 투자자의 몫을 기록하는 계정입니다.해외 관계사에 대한 지분법 적용 시 지분법자본변동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각 구성요소와 계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지분법자본변동의 구성 ..
회계를 공부하다 보면 지분법 회계처리 중에서도 특히 유상증자와 관련된 부분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불균등 유상증자로 인해 지분율이 감소하는 경우의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불균등 유상증자란?먼저 불균등 유상증자란 기존 주주들이 자신의 지분율에 비례하지 않게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주주들 간의 지분율에 변동이 생깁니다.균등 유상증자: 모든 주주가 자신의 지분율에 비례하여 증자에 참여 → 지분율 변동 없음불균등 유상증자: 주주별로 참여 비율이 다름 → 지분율 변동 발생지분율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투자회사가 피투자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지만, 자신의 기존 지분율보다 낮은 비율로 참여하거나, 다른 주주들이 더 많이 참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지분율이..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단순한 지배-종속 관계를 넘어서는 복잡한 기업 구조를 마주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자-손자' 관계로 대표되는 간접지배 구조에서 연결재무제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다양한 지배-종속 관계의 유형현실 세계의 기업 구조는 단순히 한 회사가 다른 회사를 직접 지배하는 형태를 넘어 다양한 모습을 띱니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직접 지배: A회사가 B, C, D회사를 각각 직접 지배 (가장 단순한 형태)간접 지배(부자-손자): A회사가 B회사를 지배하고, B회사가 C회사를 지배복합형: 간접 지배와 직접 지배가 혼합된 형태 (A→B→C 관계와 함께 A→C 관계도 존재)상호 소유: A회사가 B회사를 지배하지만, B회사도 A회사 지분의 일부를 소유순환 지배: A→B..

기업이 다른 회사를 인수하거나 중요한 지분을 취득할 때, 인수가격이 피인수 회사의 장부상 순자산 가치보다 높은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때 그 차이를 어떻게 회계처리 해야 할까요? 이러한 상황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로 '매수가격배분(Purchase Price Allocation, PPA)'입니다.1. PPA란 무엇인가?PPA는 기업 인수 시 지불한 대가를 피인수 회사의 각 자산과 부채에 배분하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얼마를 주고 회사를 샀는지, 그리고 그 금액이 실제로 어떤 자산과 부채에 배분되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예를 들어, A회사가 B회사의 지분 30%를 80억 원에 취득했는데, B회사의 순자산 장부가액의 30%가 20억 원이라면, 차이인 60억 원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이 차이를 전부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