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업결합 (3)
회계 밖 세상

M&A 다음 해, 종속회사 연결 범위의 모든 것기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M&A는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작년 중반에 새로운 회사를 인수했다면, 다음 해 반기보고서에는 그 실적을 어떻게 반영해야 할까요? 특히 비교 표시되는 작년 정보와는 어떻게 다를까요?이번 포스팅에서는 2024년 7월 1일에 종속회사를 취득한 경우, 2025년 상반기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는 범위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연결의 대원칙: 지배력 획득 시점K-IFRS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종속회사는 지배력을 획득한 날부터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됩니다.즉, 우리 사례에서는 취득일인 2024년 7월 1일 이후부터 발생하는 종속회사의 모든 재무적 사건들이 연결 대상이 됩니다.2025년 반기보고서, 연결 범위는?위 ..

기업이 다른 회사를 인수하거나 중요한 지분을 취득할 때, 인수가격이 피인수 회사의 장부상 순자산 가치보다 높은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이때 그 차이를 어떻게 회계처리 해야 할까요? 이러한 상황에서 적용하는 것이 바로 '매수가격배분(Purchase Price Allocation, PPA)'입니다.1. PPA란 무엇인가?PPA는 기업 인수 시 지불한 대가를 피인수 회사의 각 자산과 부채에 배분하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얼마를 주고 회사를 샀는지, 그리고 그 금액이 실제로 어떤 자산과 부채에 배분되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예를 들어, A회사가 B회사의 지분 30%를 80억 원에 취득했는데, B회사의 순자산 장부가액의 30%가 20억 원이라면, 차이인 60억 원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이 차이를 전부 영..
금융감독원은 회사 및 감사인이 회계오류 취약 분야에 대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 결산 및 회계감사를 수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2023년에 재무제표 심사시 중점 점검할 4가지 회계이슈와 중점 심사 대상 업종을 선정하여 사전 예고 했다. 사전 예방 지도 중심의 재무제표 심사 취지에 맞게 매년 6월에 다음 사업연도에 중점 점검할 분야를 미리 공표한다. 2023년 중점 점검 회계이슈는 수익인식,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실재성과 현금흐름표 표시,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손실충당금, 사업결합 이렇게 4가지이다. 1. 수익인식 新수익기준(K-IFRS 제1115호)이 ‘18년에 시행된 후 상당 기간이 경과했음에도 동 수익기준에 따라 거래의 실질을 제대로 파악하여 회계처리하지 않은 사례가 빈번히 적발되어 수익인식모형(5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