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금융부채 (3)
회계 밖 세상

회계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실무적으로 까다로운 주제 중 하나가 바로 '금융 부채'와 '지분 상품'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특히 상환전환우선주(RCPS)나 신종자본증권처럼 복잡한 금융 상품이 등장하면서 그 경계가 더욱 모호해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융 부채의 정확한 정의부터 지분 상품과의 핵심적인 구분 기준, 그리고 분류 및 측정, 사채 회계처리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금융 부채의 정의 및 특징💧 금융 부채란?금융 부채는 명확한 한 문장으로 정의되기보다는,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계약상 의무'를 의미합니다.거래 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 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 (예: 매입 채무, 미지급금, 차입금, 사채)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거래 상대방과 금융 자산 또는 금융 부채를 교환하기..
금융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기업의 회계처리에도 복잡성이 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복합금융상품(Compound Instrument)'과 '복합상품(Hybrid Instrument)'은 한글 명칭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회계적으로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개념의 차이점과 실무적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두 개념의 기본 정의복합금융상품(Compound Instrument)복합금융상품은 발행자 입장에서 금융부채 요소와 지분상품 요소가 하나의 금융상품에 동시에 포함된 형태를 말합니다. 즉, 하나의 증권 안에 부채적 성격과 자본적 성격이 모두 존재하는 것입니다.복합상품(Hybrid Instrument)복합상품은 주계약(host contract)과 내재파생상품(embedded deri..
IFRS(국제회계기준)에서 금융부채는 기업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부채'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회계기준 상의 '금융부채'는 아닐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IFRS에서 말하는 금융부채는 무엇이며, 다른 부채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IFRS 9에서 다루는 금융부채의 기본적인 정의와 계약상 의무라는 핵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IFRS, 금융부채를 어떻게 정의할까?IFRS 9에서는 금융부채를 열거 방식으로 설명합니다. 금융자산을 정의할 때처럼, 금융부채가 '무엇이다'라고 포괄적으로 정의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항목에 해당하면 금융부채로 본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거래 상대방에게 현금 등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 의무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