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IFRS
- 골린이
- 금융자산
- 회계감사
- 외부감사
- 연결재무제표
- 해외사업장
- 자기주식
- 골프
- K-IFRS
- 회계기준
- 세금신고
- 국세청
- 재무제표
- 외감법
- 기타포괄손익
- 유형자산
- 부가가치세
- k-ifrs 1023
- 공정가치
- 내부회계
- 기업회계
- 회계처리
- 재무회계
- 국제회계기준
- 상법
- 종합소득세
- 회계정책
- 기능통화
- 표시통화
- Today
- Total
목록파생상품 (2)
회계 밖 세상
 주식 투자 전 필수!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정확한 의미 알아보기
      
      
        주식 투자 전 필수!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정확한 의미 알아보기
        자본시장법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금융투자상품'과 '증권'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만 제대로 이해해도 복잡한 금융의 세계가 훨씬 명확해집니다. 이 글 하나로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져보세요!투자를 하다 보면 '자본시장법', '금융투자상품', '증권' 같은 낯선 용어들 때문에 머리가 지끈거릴 때가 많죠. 저도 그랬어요. 뭔가 중요해 보이는데, 막상 찾아보면 너무 딱딱하고 어려운 설명뿐이라 금방 포기하게 되더라고요. 하지만 우리가 소중한 돈을 투자하는 만큼, 최소한 내가 투자하는 상품이 법적으로 무엇인지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최대한 쉽고 친근하게 자본시장법의 가장 기초가 되는 '금융투자상품'과 '증권'의 개념을 설명해 드릴게요. 이것만 알아도 앞으로 금융 뉴스를 보거나 투자 상품을..
금융 분야에서 자산 가치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이자율'입니다. 특히 현물이자율과 선도이자율은 채권 평가나 파생상품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개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현물이자율의 개념현물이자율은 만기까지 중간 이자지급이 없는 순수할인채권의 만기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달리 표현하면, 현재부터 특정 미래 시점까지의 연평균 수익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로쿠폰 이자율(Zero-Coupon Rate)이라고도 합니다.현물이자율의 핵심 특징은 기간별로 다른 이자율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1년 만기 현물이자율(₀R₁)2년 만기 현물이자율(₀R₂)3년 만기 현물이자율(₀R₃)이처럼 각 시점마다 고유한 현물이자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N개의 서로 다른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