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골프
- 외감법
- 재무회계
- 회계처리
- 자기주식
- 연결재무제표
- 외부감사
- 유형자산
- 회계감사
- 국제회계기준
- 골린이
- 부가가치세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 기능통화
- 상법
- 재무제표
- 해외사업장
- 내부회계
- 기업회계
- k-ifrs 1023
- 금융자산
- 표시통화
- 회계정책
- 국세청
- K-IFRS
- 공정가치
- 기타포괄손익
- 회계기준
- IFRS
- Today
- Total
목록자본시장법 (4)
회계 밖 세상
 주식 투자 전 필수!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정확한 의미 알아보기
      
      
        주식 투자 전 필수!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정확한 의미 알아보기
        자본시장법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금융투자상품'과 '증권'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만 제대로 이해해도 복잡한 금융의 세계가 훨씬 명확해집니다. 이 글 하나로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져보세요!투자를 하다 보면 '자본시장법', '금융투자상품', '증권' 같은 낯선 용어들 때문에 머리가 지끈거릴 때가 많죠. 저도 그랬어요. 뭔가 중요해 보이는데, 막상 찾아보면 너무 딱딱하고 어려운 설명뿐이라 금방 포기하게 되더라고요. 하지만 우리가 소중한 돈을 투자하는 만큼, 최소한 내가 투자하는 상품이 법적으로 무엇인지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오늘은 최대한 쉽고 친근하게 자본시장법의 가장 기초가 되는 '금융투자상품'과 '증권'의 개념을 설명해 드릴게요. 이것만 알아도 앞으로 금융 뉴스를 보거나 투자 상품을..
 우리 회사도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 DART 공시 의무 총정리
      
      
        우리 회사도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 DART 공시 의무 총정리
        기업의 성적표, '사업보고서'는 왜 중요할까요?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할 때 내는 '증권신고서'가 입학 서류라면, 매년 제출하는 '사업보고서'는 1년간의 활동을 담은 성적표와 같습니다. 이미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투자자들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기업의 최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가장 중요한 '유통 공시' 제도입니다.주식의 가치는 과거 실적뿐만 아니라 현재의 경영 상태와 미래 전망에 따라 결정됩니다. 만약 기업 정보가 제때 공개되지 않는다면, 투자자들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없게 되고,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사업보고서는 모든 투자자가 동등한 위치에서 정보를 얻고, 공정한 시장을 만드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용어 정리]: 흔히 '연차보고서(A..
 우리 회사도 제출 대상? 자본시장법상 반기·분기보고서 의무 총정리
      
      
        우리 회사도 제출 대상? 자본시장법상 반기·분기보고서 의무 총정리
        1년에 한 번은 너무 길어요! 반기·분기보고서의 모든 것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1년 단위의 사업보고서만으로는 기업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투자자에게 시의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반기보고서'와 '분기보고서' 제출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누가, 무엇을, 그리고 가장 헷갈리는 '언제까지' 제출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기업의 주가는 실적과 미래 전망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따라서 투자자가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업은 정해진 시점마다 경영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반기(6개월) 및 분기(3, 9개월) 보고서는 바로 이러한 적시 공시(Timely Disclosure)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합니다.💡 Tip: 우리나라와 일..
최근 셀트리온이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상장사가 자사주를 매입하는 일은 기업 경영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중 하나인데요, 과연 이러한 자사주 매입은 어떤 법적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오늘은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에 필요한 법적 절차를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1. 이사회 결의: 모든 시작은 여기서부터자사주 매입의 첫 단계는 이사회 결의입니다. 상장회사의 중요 의사결정은 이사회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자사주 매입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이사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결정합니다:자사주 매입의 목적매입할 주식의 종류와 수량매입 예정 금액매입 기간매입 방법 등셀트리온의 경우에도 "이사회를 통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을 결정했다"고 명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