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회계정책
- 표시통화
- 골프
- K-IFRS
- 내부회계
- 골린이
- 재무회계
- 해외사업장
- 외감법
- 회계감사
- 회계기준
- 외부감사
- 부가가치세
- 연결재무제표
- 금융자산
- 상법
- 종합소득세
- 회계처리
- IFRS
- 기업회계
- 공정가치
- 기타포괄손익
- 기능통화
- 국세청
- 세금신고
- 재무제표
- k-ifrs 1023
- 국제회계기준
- 자기주식
- 유형자산
- Today
- Total
목록이사회결의 (3)
회계 밖 세상
 회사가 자기 주식을 사들인다고?
      
      
        회사가 자기 주식을 사들인다고?
        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다시 사들인다? '자기주식'혹시 '자기주식' 또는 '자사주'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자기주식이란, 회사가 이미 발행했던 자사의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내부자 거래나 채권자의 이익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상법에서 이를 엄격히 금지했었죠. 하지만 2011년 상법이 개정되면서, 일정한 요건과 절차를 지킨다면 회사가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있도록 길이 열렸습니다. 오늘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자기주식 취득에 대해 알기 쉽게 하나씩 파헤쳐 보겠습니다.법이 바뀐 이유는 간단합니다. 회사가 자기주식을 보유하면 시장에 유통되는 주식 수가 줄어들어, 남아있는 주식 1주당 가치가 자연스럽게 올라갑니다. 이는 기존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주기 ..
최근 셀트리온이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상장사가 자사주를 매입하는 일은 기업 경영에서 중요한 의사결정 중 하나인데요, 과연 이러한 자사주 매입은 어떤 법적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오늘은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에 필요한 법적 절차를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1. 이사회 결의: 모든 시작은 여기서부터자사주 매입의 첫 단계는 이사회 결의입니다. 상장회사의 중요 의사결정은 이사회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자사주 매입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이사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결정합니다:자사주 매입의 목적매입할 주식의 종류와 수량매입 예정 금액매입 기간매입 방법 등셀트리온의 경우에도 "이사회를 통해 약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을 결정했다"고 명시..
회사의 주요한 의사결정은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의 결정에 따른다. 어떠한 사항이 주주총회결의사항인지 이사회결의사항인지에 대해서는 상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관의 규정에 따라 일부 상법상 결의기관을 달리 정할 수 있다. 이사와 감사의 선임, 정관변경, 조직변경(합병, 분할, 조직변경), 재무제표승인, 주식과 현금배당(이익배당도 일정한 경우 이사회결의로 가능한 경우가 있다),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등은 주주총회 고유권한이라고 할 수 있고, 정관의 규정으로도 이사회 또는 대표이사에게 그 권한을 위임할 수는 없다. 또한 대표이사의 선임, 신주의 발행, 전환사채의 발행,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등은 이사회결의사항 이지만 정관의 규정에 의해 주주총회 결의사항으로 할 수 있다. 이사회는 이사가 3인 이상 있는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