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외감법
- 기능통화
- 국제회계기준
- 회계처리
- 재무제표
- 유형자산
- 골린이
- 상법
- 부가가치세
- 세금신고
- 기타포괄손익
- 연결재무제표
- 종합소득세
- IFRS
- 재무회계
- 외부감사
- 회계정책
- 회계감사
- K-IFRS
- k-ifrs 1023
- 해외사업장
- 회계기준
- 국세청
- 표시통화
- 금융자산
- 기업회계
- 자기주식
- 공정가치
- 골프
- 내부회계
- Today
- Total
목록어음법 (2)
회계 밖 세상
어음의 심장을 움직이는 힘, '배서' 완전 정복! 💼✨오늘은 ‘어음’이라는 금융 도구의 핵심 중의 핵심, 바로 ‘배서(背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어음법과 수표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개념인데요. 저도 처음엔 용어가 너무 어렵게 느껴졌지만, 알고 보면 우리 경제 활동의 유통성을 지켜주는 정말 스마트한 제도더라고요! 함께 배서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볼까요? 🕵️♀️💡 잠깐, 어음이란?어음은 특정 날짜에 특정 금액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하는 유가증권이에요. 기업 간 거래에서 현금 대신 사용되거나,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되죠. 이 어음이 원활하게 유통되도록 돕는 장치가 바로 '배서'입니다.1. 배서(背書)는 왜 필요할까요? 어음 유통의 마법! ✨1) 배서의 기능: 지명채권 양도와는 차원이 달..
어음과 수표,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사업이나 금융 거래에서 자주 등장하는 환어음, 약속어음, 수표의 정확한 개념과 차이점을 이 글 하나로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사업을 하다 보면 '어음 처리', '수표 발행' 같은 말을 자주 듣게 되죠. 저도 처음에는 '다 그냥 돈 주는 증서 아닌가?' 하고 막연하게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각각의 역할과 법적 성격이 완전히 다르더라고요. 잘못 사용하면 큰 곤란을 겪을 수도 있고요. 그래서 오늘은 상법의 기본 중의 기본! 환어음, 약속어음, 수표가 각각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지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환어음이란 무엇일까요? 🤔먼저 환어음부터 살펴볼게요. 환어음은 발행인이 제3자(지급인)에게 "이 사람(수취인)에게 정해진 날짜에 돈을 지급해주세요"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