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업 투자 회계처리 3가지 방식 완벽 비교: 지분법, 비례연결, 연결 타 회사에 투자했을 때, 그 회사의 성과와 재무상태를 자사의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까? 단순히 배당금만 인식할 수도 있지만, 투자 회사의 영향력에 따라 더 복잡한 회계처리가 필요하다. 오늘은 투자 회계처리의 3가지 주요 방식—지분법, 비례연결, 연결—을 알기 쉽게 비교해 보자세 가지 회계처리 방식의 개념1. 지분법(Equity Method)투자한 회사의 순자산 변동분을 지분율만큼 한 줄로 반영일명 "원 라인 컨솔리데이션(One-line Consolidation)"주로 관계기업(유의적 영향력이 있는 기업)에 적용2. 비례연결(Proportionate Consolidation)투자한 회사의 자산, 부채, 수익, 비용을 지분율만큼 가져와 합침"프로포셔닝 컨솔리데이션(Proportioning Consolida.. 2025. 3. 28.
TRS 계약, 실질 지배력을 감추는 회계 트릭일까? TRS란 무엇인가요?TRS(Total Return Swap, 총수익스왑)는 쉽게 말해, 주식의 경제적 이익은 누리면서도 형식적인 소유권은 넘길 수 있는 계약입니다.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굉장히 많이 활용하고 있는 금융계약으로, 지배력 판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예를 들어 A기업의 대주주가 보유 지분을 증권사에 넘기고 돈을 받아옵니다. 이 과정에서 주식을 판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의결권은 그대로 유지하고 시세차익이나 배당도 대주주가 챙깁니다. 즉, 지분은 팔았는데 영향력은 그대로인 셈이죠.TRS의 기본 구조TRS 계약의 기본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지분 이전: 대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증권사에 매각합니다. 이때 대주주는 현금을 받게 되어 유동성을 확보합니다.의결권: 일반.. 2025.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