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이야기
이것만 알면 끝! 헷갈리는 '-에요' vs '-예요' 1분 완벽 정리!
지파지파
2025. 10. 25. 00:27
반응형
'-에요' vs '-예요'
"이거 뭐예요?", "학생이에요." 우리가 매일 쓰는 말이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헷갈리는 '-에요'와 '-예요'. 이 포스트 하나로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핵심 규칙: 받침, 그것만 기억하세요!
'-에요'와 '-예요'를 구분하는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은 바로 앞 글자의 받침 유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것 하나만 기억하면 90%는 해결됩니다.
1. 받침이 없을 때 → '-예요'
앞 글자에 받침이 없다면 '-예요'를 사용합니다. '-이어요'의 준말이죠.
- 어디예요?
- 의자예요.
- 저예요.
- 어디에요 (X)
2. 받침이 있을 때 → '-이에요'
앞 글자에 받침이 있다면 '-이에요'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이'를 빼먹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책이에요.
- 학생이에요.
- 가방이에요.
- 책예요 (X)
가장 중요한 예외: '아니다'
'아니다' 뒤에는 무조건 '-에요'
모든 규칙에는 예외가 있죠? '아니다'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아니'는 받침이 없지만, '-예요'가 아닌 '-에요'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은 국립국어원에서도 지정한 규칙이니 꼭 외워두세요!
- 그거 아니에요. (O)
- 그거 아니예요. (X)
⭐ 10초 만에 끝내는 최종 정리
1. 앞 글자에 받침 없으면 (사과, 의자) → '-예요'
2. 앞 글자에 받침 있으면 (사람, 학생) → '-이에요'
3. '아니다' 다음에는 무조건 → '-에요' (아니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