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잉여금과 자본조정,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핵심 계정과목 정리)
지난 시간 자본금의 증가(증자)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자본금의 감소(감자)와 자본 거래의 결과를 나타내는 자본잉여금, 그리고 자본의 임시적이거나 차감적 성격의 항목인 자본조정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룹니다. 특히 실무에서 중요한 자기주식 회계처리를 완벽하게 마스터해 보세요.
1. 자본금의 감소 (감자)
감자란, 증자와 반대로 회사의 자본금을 줄이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감자는 주주에게 대가를 지급하는지에 따라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로 구분됩니다.
1.1. 유상감자 (실질적 감자)
주주에게 현금 등 대가를 지급하고 주식을 매입하여 소각하는 방식입니다. 회사 자산이 실제로 감소하므로 '실질적 감자'라고 부릅니다.
🟢 Example: 유상감자 회계처리
액면가 ₩1,000인 주식 100주를 주당 ₩1,500에 매입 소각하는 경우, 지급한 대가(₩150,000)가 액면가 총액(₩100,000)보다 많으므로 감자차손이 발생합니다.
(차) 감자차손 50,000 (자본조정)
👉 만약 주당 ₩800에 매입했다면, 차액 ₩20,000은 감자차익(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됩니다.
1.2. 무상감자 (형식적 감자)
주주에게 아무런 대가를 지급하지 않고 주식 수만 줄여 자본금을 감소시키는 방식입니다. 회사의 순자산 변동이 없어 '형식적 감자'라고 합니다.
🟡 Highlight: 무상감자의 목적
무상감자는 주로 누적된 결손금으로 인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기업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상장 폐지 등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시합니다. 감소시킨 자본금만큼 '감자차익'이 발생하며, 이 감자차익으로 누적된 결손금을 상계(보전)할 수 있습니다.
🏢 Procedure: 무상감자를 통한 결손 보전
Step 1: 무상감자 실시
자본금을 감소시키고, 동일한 금액을 감자차익(자본잉여금)으로 인식합니다.
Step 2: 결손금 보전 (상계)
발생한 감자차익을 사용하여 미처리결손금을 제거합니다. (미처리결손금 ₩900,000 가정)
2. 자본잉여금과 자본조정
자본 거래에서 발생한 결과는 성격에 따라 '자본잉여금'(플러스) 또는 '자본조정'(마이너스 또는 임시) 항목으로 분류됩니다.
⚪ 자본잉여금 (Capital Surplus)
증자, 감자 등 주주와의 자본 거래에서 발생한 이익입니다. 손익계산서를 거치지 않습니다.
- 주식발행초과금: 할증발행 시 액면가를 초과한 금액
- 감자차익: 감자 시 발생한 이익
- 자기주식처분이익: 자기주식을 취득가보다 비싸게 판 이익
- 기타자본잉여금: 전환권대가, 신주인수권대가 등
⚪ 자본조정 (Capital Adjustment)
자본의 차감 항목이거나, 최종 성격이 확정되지 않은 임시 계정입니다.
- 자기주식: 회사가 재취득한 자기 회사 주식 (차감)
- 주식할인발행차금: 할인발행 시 액면가 미달액 (차감)
- 감자차손: 감자 시 발생한 손실 (차감)
- 자기주식처분손실: 자기주식을 싸게 판 손실 (차감)
- 미교부주식배당금: 주식배당 결의 후 미지급액 (가산)
3. 핵심 자본조정 항목: 자기주식
자기주식은 회사가 이미 발행한 주식을 시장에서 다시 사들인 것으로, 자산이 아닌 자본의 차감 항목으로 처리됩니다. 주가 안정이나 경영권 방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Important: 자기주식 소각 시 회계처리
자기주식 소각은 '어떤 재원으로 취득했는가'에 따라 회계처리가 달라집니다. 실무에서는 대부분 배당가능이익으로 취득하므로, 소각 시 자본금이 아닌 이익잉여금을 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배당가능이익으로 취득 후 소각: (차) 이익잉여금 / (대) 자기주식 -> 실무 다수!
- 특정 목적(합병 등)으로 취득 후 소각: (차) 자본금, 감자차손 / (대) 자기주식
🟢 Example: 자기주식 취득, 처분, 소각
회사가 자기주식 1주를 ₩8,000에 취득 후, ₩9,000에 처분한 경우의 회계처리입니다.
[취득 시]
(차) 자기주식 8,000 / (대) 현금 8,000[처분 시]
(차) 현금 9,000 / (대) 자기주식 8,000(대) 자기주식처분이익 1,000
👉 만약 ₩6,000에 처분했다면 자기주식처분손실 ₩2,000이 발생하며, 기존 처분이익과 우선 상계합니다. 배당가능이익으로 취득한 주식을 소각했다면, 취득원가 ₩8,000만큼 미처분이익잉여금이 감소합니다.
이로써 자본의 주요 변동 사항인 감자와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항목에 대한 학습을 마쳤습니다. 자본 거래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각 계정의 의미와 회계처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